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스페셜
"
가능성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되는 동물로 실험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며 발표하는 경우 이런 문제점이 있을
가능성
이 농후하다. 저자는 과학자들의 ‘게으름과 무지함’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원 교육과정을 뜯어고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오늘날 대학은 관련분야의 지식(사실)을 가르칠 뿐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곧장 좌절에 빠지기 전에 혹시 나쁜 일들을 더 크게 지각하는 과한 반응이 아닌지(그럴
가능성
이 높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 가지 다행인 것은 감정은 본능적으로 발생하지만 그걸 최종 ‘경험’하는 건 우리의 해석 여부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비슷한 흥분 상태일 때 앞에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수원이 떼까마귀가 생각하기에 겨울을 보내기 좋은 지역이었다면 올 겨울에 또 올
가능성
이 물론 있습니다. 올해처럼 정전이 되거나 배설물 피해를 처리할 방안을 미리 대비해야 할겁니다. 10만 마리가 넘는 떼까마귀가 모이는 울산은 떼까마귀철이 오면 시청 차원에서 ‘떼까마귀 배설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하는 유형으로 조합된 경우 고수가 들어간 음식엔 손도 대지 않을
가능성
이 높다. ● 극복을 하거나 꼼수를 부리거나 이처럼 음식에 대한 선호도에 생물적 기반이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지만 동시에 사람은 타고난 선호도를 극복할 수도 있는 것도 사실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GNS 연구원은 “단층과 단층 사이에 이제껏 규명하지 못한 숨겨진 단층이 존재할
가능성
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겉으로 보기엔 별개인 단층이 어떻게 연결돼 에너지를 주고받는지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꿀은 영아 보툴리누스균의 포자가 자라는 곳 중 하나로 이 세균이 만드는 독소를 품을
가능성
이 있다. 보툴리누스균 자체는 안전하나 이 세균이 만드는 독소는 영아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식품의약품청과 질병관리센터, 미국 소아과학회, 독일 식품학회는 10여 년 전부터 “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들지 못한다. 따라서 나이가 들수록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건 뇌 속 수면회로의 문제일
가능성
이 크고 최근 연구결과들은 실제 그렇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수면과 각성의 조절 메커니즘을 간단히 살펴보자. 아침이 되면 외측시상하부영역(LHA)이 활성화돼 신경전달물질인 오렉신(orexin)을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것 ‘이상’으로 스스로의 기준에서 친밀함이 도가 지나쳐도 관계의 질이 낮고 헤어질
가능성
이 높은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다(Frost & Forrester, 2013).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무조건 끈적끈적하고 서로 거리낄 게 아무 것도 없는 상태가 되는 게 항상 좋은 게 아니라는 것이다.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 UNIST 제공 "전이암 찾는 'FAST 디스크', 암 진단‧치료 새 장 연다." "소변으로 암 진단, 그
가능성
이 열렸다!" 최근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조윤경 그룹리더(UNIST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진이 암 진단 치료에 관련된 연구 성과를 잇달아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조 그룹리더는 암 조직에서 떨어져 나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있었지만 어쩌다 빛이 들어오지 않는 환경에 놓여 필요 없어진 유전자들을 잃어버렸을
가능성
도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41종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시아노박테리아 진화의 진면목이 밝혀진 것이다. 먼저 앞의 두 그룹에 속하지 않는 종들이 여럿 확인되면서 세리사이토크로마티아(sericytochromatia)라는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