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스페셜
"
가능성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귀여운 돼지 한 마리가 등장했다. 태어난 지 2주된 이 새끼 돼지는 과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4개월 반까지 살면 인간에게 신장, 폐, 심장 등의 장기를 이식할 수 있을 만큼 성장할 것이다.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
2017.09.24
사람들에 대한 소식도 별로 궁금해하지 않고 각종 모임이나 SNS 등에도 별 관심이 없을
가능성
이 높다. 어쩌면 무인도에 혼자 떨어져 살아도, 거기서도 ‘윌슨’ 같이 사람 대신 대화를 나눌 대상 없이도 별 탈 없이 지낼지도 모르겠다. 사회공포증을 보이는 사람들은 낯선 사람들과 있을 때 불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고 진드기뿐 아니라 고양이 같은 동물도 매개체가 될
가능성
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긴소매 옷을 입고 야외에 다녀온 뒤 몸을 잘 살펴라’는 수준 이상의 대응을 고려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일단 떠오르는 게 백신인데 아직 본격적인 연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맞은 식물체는 서둘러 다시 이어붙이려고 시도하는데 그 과정에서 실수가 생길
가능성
이 크다. 연구자들이 노리는 게 바로 식물의 복구시스템오류다. 이렇게 얻은 개체 가운데 3분의 1 정도에서 흰 꽃이 폈다. 즉 게놈편집으로 DFR-B 유전자가 못쓰게 된 것이다.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복구 과정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정당화한 남녀심리의 상당 부분은 사실 섹스가 아니라 젠더에 기반한 특성일
가능성
이 크다는 게 최근의 연구결과다. 여성 최초이자 유일한 필즈상 수상자인 미국 스탠퍼드대의 수학자 마리암 미르자카니 교수가 지난 7월 14일 40세의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수학은 천재(소수 남성)의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1492년. 산타마리아호를 타고 신대륙에 도착한 콜럼버스는 아메리카 지역에 이미 거주하고 있던 사람들을 ‘인디언’이 ... 최초의 인디언은 ‘육지사람’이 아닌 바다를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었던 ‘선원’일
가능성
이 높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사람에게는 오히려 부작용만 큰 것 역시 개인에 따른 장내미생물 조성의 차이 때문일
가능성
이 높다. 장내미생물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약물의 가장 유명한 예는 항암제인 이리노테칸(Irinotecan)이다. 이 약물은 전이성 결장암을 비롯해 토포이소머라아제Ⅰ(topoisomerase Ⅰ)을 과잉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꺼냈다. 그렇다면 왜 생쥐는 이처럼 앞발가락(손가락?)을 정교하게 쓸 수 있었음에도 그
가능성
을 스스로 봉쇄해버린 것일까. 얼핏 생각해도 이런 능력이 생존에 도움이 될 것 같은데 말이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앞발가락을 능숙하게 놀리는 게 주로 땅에서 네 발로 걷는 동물들에게는 별로 도움이 ... ...
나는 항상 희생만 한다? 자기중심적 세계관에 빠진 사람들
2017.07.22
건강하고 업무 성과도 괜찮고 인간관계도 괜찮고 가족도 화목한 등 사실 확률적으로
가능성
이 낮은 ‘모든 면에 있어 완벽한 삶’을 기본으로 설정하고 여기에서 삶이 조금만 벗어나면 마치 잘못된 대우를 받은 양, 내 삶에서 뭔가 잘못되는 것은 ‘불의’인 양 억울해하곤 한다. 실제로 연구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시절 인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신체 활동이 적고 따라서 뇌가 일찌감치 쪼그라들
가능성
이 높다. 실제 21세기 들어 지구촌 차원에서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신경퇴행성질환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현상은 이런 가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인류는 대략 20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가 등장한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