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병통치약처럼, 우리에게 장내미생물은 결핍 그 자체가 문제일 뿐이다. 우리는 그것의 진정한 과학적 가능성이나 배경에는 관심이 없다. 이번 커버스토리인 기획에서는 장내미생물 연구의 최전선을 다뤘다. 먼저 기원에 대한 최신 연구를 전문가의 도움으로 풀어봤고,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3차원 지형도가 완성됐고, 탄소연대를 측정해서 독도의 형성 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송 책임연구원은 아직 독도에 대해 알아야할 것이 많다고 말했다.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에 비해서는 아직 부족한 게 많다는 것이다. 연구 역사가 훨씬 짧으니 그럴 만도 하다.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안후이성과 광둥성에서도 공작석을 비롯한 아름다운 구리광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위 사진 속 표본도 광둥성에서 채집된 것이다. 수집가들은 비스비 공작석에 비견될 만하다며 새로운 발견에 열광했다. 하지만 의류나 가방 브랜드와 마찬가지로 광물계에서도 신흥 브랜드가 명품 브랜드로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구조 때문에 결정질의 포논과 비결정질의 포논이 상호작용하면서 거미줄의 탄성률이 커진다. 즉, 거미줄이 충분히 늘어나도 끊어지지 않고 버틴다.특히 최근엔 많은 과학자가 그래핀의 포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를 제작할 때 큰 문제 중 하나는, 소자가 집적화될수록 열이 많이 난다는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준비와 진행을 담당한 염민선 KISTI슈퍼컴퓨팅본부 책임연구원은 “모든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밤을 새워가며 노력하고, 결국 문제를 풀어내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며 “슈퍼컴퓨터 경험이 앞으로 새로운 것을 배우고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주변을 둘러보면 휴대전화, TV, 컴퓨터 등 전기로 움직이는 물건들이 정말 많아요. 전기가 없다면 이 물건들은 아무것도 할 수 없지요. 그런데 전기는 어떻게 이 물건들을 움직 ... 친구들도 집에 있는 밀가루와 소금을 이용해 전기가 통하는 멋진 모형을 만들어 보세요 ... ...
- [특별 이벤트] 숨겨진 방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
- [수학동아클리닉] 변신! 정십이육면체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변신하는지 알아보자.순환하며 변신하는 정다면체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만 이뤄진 정다면체는 오직 다섯 가지 뿐이다. 정다각형 하나로만 이뤄져야 하며, 다각형 면들이 한 꼭짓점에 모일 때 각도의 합이 360˚보다 작아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 때문이다. 정다면체는 비록 다섯 개뿐이어도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들었다. 즉, 사람의 자세를 결정하는 관절의 각도와 위치를 변수로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그림자가 목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했다.연구팀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코끼리와 토끼처럼 복잡하게 생긴 동물에 대해서도 적절한 동작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해당 동작을 3D프린터로 출력해 빛을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구에 쓰이는 뇌 모형이 서양인에게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한국 노인에게 맞춘 뇌 모형을 개발했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뇌 질환이 없는 60세 이상 노인 96명의 자기공명영상(MRI) 결과를 분석해 ‘한국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을 개발했다고 7월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