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약 한 달간 참여했어요. 지구 맨틀의 융해과정과 융해물질의 흐름이 화산활동이나 지진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해 응용수학자와 컴퓨터공학자, 지구과학자 등이 모였어요.연구소 어디를 가나 삼삼오오 모여 자신의 연구를 이야기하고 함께 문제를 푸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개의 정오각형면이 생긴다. 원래 있던 20개의 정삼각형은 정육각형이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꼭짓점이 60개이고 모서리가 90개인 도형이 깎은 정이십면체다. 가죽으로 깎은 정이십면체를 만들어 내부에 바람을 넣으면 축구공이 되는 것이다.축구공에서 정다면체와 준정다면체의 모습을 모두 발견할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독일 의사 페르디난트 사우어브루흐가 개발해 ‘사우어브루흐 손’이라고 불렸다.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아직 ‘스타워즈 2’에 나온 바이오닉 손은 등장하지 않았다. 이런 손은 전자공학의 발달과 함께 태어날 차례였다 ... ...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있는지 통계적으로 밝히려고 한 것입니다.그 결과 칼라니쉬 환상열석과 스테니스에 세워진 돌기둥의 위치는 달의 주기에 딱 맞아 떨어졌습니다. 돌기둥이 있는 지역을 반으로 나눴을 때, 각각은 완전히 반대의 형태 이루고 있었습니다. 돌기둥의 한쪽은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하지에 북쪽 지평선이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같은 중력파 파형을 뽑아낼 수 있다.우리나라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는 총 4명으로 이뤄진 중력파 연구팀이 있다. 연구팀은 ‘힐베르트-후앙 변환’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중력파와 잡음을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잡음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해 데이터의 질을 올릴 수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주름 속에 감춰진 뇌세포가 더 많듯이, 뇌 주름에는 아직까지 인류가 알지 못하는 놀라운 잠재력이 담겨 있다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대각선 길이가 20인치인 TV를 보려면 20×1.6= 32인치, 약 81.28cm 떨어진 거리에서 봐야 합니다.시야각 때문이지요.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은 정면을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위로 60°, 아래로 75°까지 볼 수 있어요. 또 왼쪽 눈은 왼쪽으로 95°, 오른쪽으로 60°까지 볼 수 있어요.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람의 표정과 인상은 어려서부터 각자 어떤마음가짐과 태도로 살아왔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즉, 인생을 살아가면서 어떤 표정을 자주 지었느냐에 따라 특정 얼굴 근육과 거기에 붙어 있는 뼈의 모양이 바뀔 수 있다. 심지어 눈, 코, 입이나 주름의 생김새도 달라질 수 있다. 아름다운 얼굴 또는 좋은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있지 않은 철냄비를 두드리는 것만으로도 음계가 들리기 때문이다!비밀은 냄비가 찌그러진 정도. 두드리는 부분이 얼마만큼 찌그러졌느냐에 따라 음의 높이가 다르다. 투박한 생김새와 달리 스틸팬이 내는 음색은 실로폰처럼 가볍고 상쾌하다 ... ...
- C 에코브릭, 환경을 지키는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계속 보시려면?INTRO. 장난감에서 합성생물까지 블록의 과학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C 에코브릭, 환경을 지키는 블록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