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이 뱀이 나무를 오르는 비법 ‘셀프 올가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 방법으로 지름이 두 배 이상 큰 원통까지 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인 교수는 40년간 뱀의 이동방식을 연구했지만 이번 발견은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라며 다른 새로운 방식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까지 점쳤다. doi: 10.1016/j.cub.2020.11.05 ...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보건당국이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해 분석하는 과정에서 존재가 확인됐다. 초기에 ‘2020년 12월 조사에 들어간 첫 번째 변이’라는 뜻의 VUI 202012/01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이후 ‘2020년 12월 등록된 첫 번째 관심 변이’라는 뜻의 VOC 202012/01로 불리고 있다. 영국의 게놈 해독 결과를 토대로 ‘B.1.1.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원의 소속 대학은 그의 박사학위를 취소했고, 교신저자였던 교수는 1년간 정직, 3년간 연구 활동 금지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이례적으로 APL 편집팀은 교신저자에게 비윤리적인 행위 및 국제 저작권 위반을 이유로 사과문을 게재하도록 했다 ... ...
- [KAIST 50년] 과학동아 키워드로 톺아본 KAIST과학동아 l2021년 02호
- 986년 창간된 과학동아는 그 해 1월 ‘하이테크시대를 여는 두뇌집단’이라는 기사를 시작으로 2021년 1월호까지 1000여 건의 기사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KAIST와 관련된 연구, 인물, 사건을 보도했다. 입학 정보, 변화하는 과학정책 등도 놓치지 않았다. KAIST를 다룬 과학동아 기사를 모두 수집해 KAIST가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흔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그런 과학자가 많지 않다.정 교수는 “외국에서는 교수의 정년보장(테뉴어) 심사 등에 저서나 강연 활동을 일정 점수로 인정해주는데, 아직 한국은 그런 제도가 부족하다”고 답했다.앞서 정 교수는 과학이 아주 재밌는 영화라 비유했지만, 과학은 ‘어려운 학문’이라는 ... ...
- 2021 화성 탐사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임무를 시작한다. 이어 미국의 ‘퍼시비어런스(인내)’가 2월 18일 화성 표면에 착륙해 2년 동안 화성 탐사 임무를 시작한다. 하지만 이 숨가쁜 화성 탐사 레이스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화성 궤도 진입과 지상 착륙이라는 최고난도의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과연 이들은 난관을 이기고 화성 탐사에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해 11월 17일, 발사 후 9일 만에 잉훠 1호의 실패 소식을 발표했다.뼈아픈 실패를 맞본 뒤 5년이 지난 2016년, 중국은 지구, 달을 뛰어넘는 행성 탐사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목표가 화성 탐사라고 선언했다. 지난해 8월 화성 탐사선 톈원 1호를 발사했다. 톈원은 중국 고대 시인인 굴원의 시 ‘하늘에 묻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작년 한 해 가장 관심을 받은 야생동물은 박쥐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킨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인간으로 옮아 왔다는 주장 때문이다. 하지만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이 있다. 코로나19가 전파된 것은 박쥐와 사람의 ‘만남’ 때문이지 박쥐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 건축사가 되기 위한 팁Q1 건축사가 되기 위해 진학해야 하는 학과는?지난해부터는 5년제 전문학위 과정인 건축학과를 졸업해야 합니다. 건축학과를 졸업하지 않고 건축학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Q2 건축사가 되기 위해 필수로 갖춰야 하는 자격은?국가공인자격증인 건축사 자격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수 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엄 교수는 고재원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함께 2016년 ‘IQSEC3’라는 단백질이 억제성 시냅스 골격단백질의 한 종류인 게피린(gephyrin)과 결합하며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IQSEC3 유전자의 존재는 2004년 처음 밝혀졌지만,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