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동성애 혐오한 이루다… 편향 없는 AI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난해 12월 23일 페이스북 메신저를 기반으로 출시된 AI 챗봇 서비스다. 스캐터랩은 2016년 출시한 연애 분석 앱 ‘연애의 과학’으로 수집한 카카오톡 데이터 약 100억 건 중 1억 건을 이루다의 딥러닝 재료로 사용했다. 이루다는 자연스러운 대화 기능으로 인기를 끌었으나, 악성 이용자들에게 성적 ... ...
- [과학뉴스] 우주 전체 촬영하는 ‘스피어x’ 천문연·NASA 공동 제작 돌입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개에 달하는 개별 천체들의 분광 목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피어x는 2024년 발사될 예정이다. 스피어x 한국 연구책임자인 정웅섭 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과거 차세대 소형위성 1호 과학탑재체인 근적외선 영상분광기(NISS)를 독자 개발한 경험이 밑거름이 됐다”며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성인남녀 1000명 중 ‘정신 건강이 전년(2019년)에 비해 나빠졌다’고 한 236명에게 ‘작년에 비해 올해 본인의 정신건강이 더 나빠진 것에 코로나19 상황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줬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236명 중 85%가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코로나 블루 속 뇌과학이들 조사 결과에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원의 소속 대학은 그의 박사학위를 취소했고, 교신저자였던 교수는 1년간 정직, 3년간 연구 활동 금지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이례적으로 APL 편집팀은 교신저자에게 비윤리적인 행위 및 국제 저작권 위반을 이유로 사과문을 게재하도록 했다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도 등장했다. 2019년 마이크로소프트는 2mm 유리판에 수백 년 이상 데이터를 손실 없이 보관할 수 있는 ‘프로젝트 실리카’ 기술을 발표했다. 초미세 가공이 가능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해 유리판 내부의 구조를 두 가지 형태 중 하나로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고, 이 변형된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작년 한 해 가장 관심을 받은 야생동물은 박쥐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킨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인간으로 옮아 왔다는 주장 때문이다. 하지만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이 있다. 코로나19가 전파된 것은 박쥐와 사람의 ‘만남’ 때문이지 박쥐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 ...
- [이달의 책] ‘남성 전용’ 우주에 맞선 위대한 패배자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들면?”“아기 코끼리 같은 거요.”“당장 내 사무실에서 나가시지.”단호한 편집자를 1년간 설득한 끝에 마침내 기자인 저자는 아기 코끼리를 만나게 됐다. 이후 전쟁, 집단 학살 등 인간 사회의 암울한 주제를 다루는 불행을 상쇄하고 균형을 이루고자 시간이 날 때마다 독특한 동물들을 취재하기 ... ...
- [만화뉴스] 멈추지 않는 인구 감소! 어린이가 줄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있어요. 65세 이상 인구는 857만 4588명인데, 이는 아동(0∼17세) 인구 765만 명보다 많고 청소년(9∼24세) 인구 846만 명보다도 많아요. 인구가 줄면 나라 경제가 큰 타격을 입습니다. 돈을 쓰는 사람이 줄어들어서 기업이 돈을 벌기가 힘들어 지고, 나라에 세금을 내는 사람도 줄어 국가 운영이 어렵기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모두 모였습니다. ● 비둘기 비둘기도 사람처럼 숫자를 셀 수 있을까요? 2011년 데미안 스카프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터치스크린 컴퓨터 화면을 3개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화면마다 다른 모양과 크기, 색깔의 도형을 띄웠습니다. 아래와 같이 첫 번째 화면에는 빨간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층간소음 너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달했어요. 2016년 1만 9495건, 2017년 2만 2849건, 2018년 2만 8231건, 2019년에도 2만 6257건으로, 예년에 비해 약 30% 이상 증가한 수치예요. 양경숙 의원은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더 많아지며 층간소음이 늘었고, 보복 소음으로 번지는 등 갈등이 심화 ...
이전3253263273283293303313323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