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무엇일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과학자는 끊임없이 배우고 연구하는 사람들입니다. 가장
큰
행복도 생계나 연구비 걱정 없이 하고 싶은 연구에 매진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어려운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꺾이지 않는 긍정적인 자세도 필요하겠지요. 연구 활동에서 ... ...
[웹툰] IT 강국, 댓글 강국
KOITA
l
2013.10.08
찾습니다. 주말에 4시간 정도 모여서 서로 부족한 점을 보충해주면 서로의 회사업무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여기는 인천이고 남동공단 근처입니다. 다음 날 다시 접속해 보니 starfish라는 아이디로 밤늦은 기록시간이 보이는 댓글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starfish : 저도 인천에 사는데요. 스터디 ... ...
「원자력 교육백서」 첫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아니라, 기관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비롯해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하루키 자신의 과거가 투영된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흔히 하루키가 인기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여성의 심리와 말투를 정말 잘 묘사하는 점이라고 들 말한다. 최근의 같은 책이 대표적인 여주인공 1인칭 시점인데, 읽다 보면 여성보다 더 여성적인 심리의 묘사에 탁월함에 감탄하게 한다. 그러나 ... ...
임진왜란 해전 승리의 비결이 거북선이라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출현하게 된 것이 바로 판옥선이다. 판옥선은 우선 다층 전함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전 시기의 전함들이 모두 단층의 평선(平船)이었기 때문에 갑판 위에는 전투요원과 비전투요원인 노꾼이 함께 있어 전투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졌다. 이에 비해 판옥선은 선체가 이층으로 되어 있어 ... ...
어려움 속에서 빛나는 창조적 아이디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3
것을 깨달았다. 규모가 작은 만큼 직원의 수도 적어 서로 간의 호흡이 잘 맞는다는 것도
큰
장점으로 꼽혔다. 이러한 기회요소를 찾아낸 10인의 직원들은 동물원의 새로운 방향과 콘셉트를 '행동전시(行動展示)'로 결정한다. '행동전시'는 생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동물의 모습을 ... ...
과학기술 안에서 '소통의 길'을 찾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18
증가했다. 이러한 위험요소를 해결하는 것이 과학의 책임이며 앞으로 스마트 센서가
큰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스마트 센서는 모든 곳에 적용되어 사회의 위험 요인과 사람 몸 안팎의 위험 요인까지 조기에 감지하고 포착해서 알려주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살 수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2
장비를 가진 나라들도 수심 2,000m 작동 실험이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연구진은 이 부분을
큰
고비로 보고 있다. 미내로가 단계별 실험을 모두 통과하면 수심 5,000m 깊이에 투입돼 본격적인 망간단괴 채광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지금보다 5배 더 커져 무게가 100톤이 넘는 로봇이 2002년 ... ...
공공 R&D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KOITA
l
2013.09.10
13년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KOITA 제공 공공 R&D 성과 활용도 제고 공공 R&D의
큰
축으로서, 과거 출연연은 우리나라 경제성장기에 수입대체, 수출 등을 위한 추격형기술개발과 CDMA 개발 등 국가 과학기술 발전의 중심역할을 수행해 왔으나, 근래에는 국민들이 기대하는 성과를 창출해내지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도주한 살인범이 영국 런던에서 체포되었으며 이 사건으로 무선통신이 대중적으로
큰
관심을 얻었다. 2012년에 이르면 무선통신이 국제 통신망의 필수 요소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무선통신이 대서양을 처음으로 횡단한 지 불과 12년 만이었다. 마르코니의 무선통신은 20세기를 이전과는 질적으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