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이득
수확
수입금
이익
이입
도입
스페셜
"
수입
"(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프린팅에 날개를 달아준 방사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7
지지체’를 국산화해 무역수지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해외
수입
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3D 프린팅의 미래는 어디까지일까? 최근에는 형상기억까지 기억하는 4D 프린팅 기술까지 개발 되었다고 하니 그 미래를 예측하기란 쉽지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2.27
퇴행성질환의 양상이 비슷해 노화 연구의 핵심으로 불린다. 고령인 탓에 외국에서
수입
했다가는 자칫 스트레스로 사망할 수 있어 국내에서 직접 기르는 수밖에 없다. 구 기술원은 “최고령 생쥐는 32개월”이라며 “지난해 12월 외부 기관에 분양됐다”고 말했다. 생쥐의 평균 수명은 18개월로 이 ... ...
광우병 소고기, 가짜 건강식품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2.23
기초지원연이 개발한 것으로 실제로 국내 식품의 원산지 단속에도 도움을 줬다. 식품
수입
업자들에겐 정부가 분석 술을 갖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큰 압박이 되는데다 실제로 의뢰를 받고 원산지를 확인해 준 경우도 있다. 하지만 토양 성분이 비슷한 경우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초식동물이 아니라 사람이었는데 화석연료가 보급되고 건축이나 가구용 목재를
수입
하면서 사실상 숲이 방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평지가 사실상 없기 때문에 야생 대형 초식동물이 없다. 고라니나 멧돼지가 늘고 있다지만 이들 때문에 숲이 황폐화되는 것 같지는 않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전극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공와우 장치 전량을 해외
수입
에 의존해 왔으나, 서울대와 뉴로바이오시스의 산학협력을 통해 값싸고 성능이 뛰어난 국내 최초의 다채널 인공와우를 개발한 바 있다. 국산 제품으로 인공와우 이식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인공와우용 ... ...
[기술이 바꾼 미래] 병든 도시를 건강한 도시로 바꾼 수세식 변기
KOITA
l
2014.12.08
펜촉만 갈아줘도 펜을 항상 새 것처럼 유지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필기용 깃털을
수입
해야 했던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었다. 또한 그는 당대 최첨단 선박에 사용되던 외륜(外輪)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펠러를 고안하기도 했다. 그의 아이디어는 그가 죽은 지 60년 후에 영국의 선박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필요 없이 기존의 내연기관 중심의 교통체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원료의
수입
선을 다변화할 수 있어 국제유가에 휘둘리는 국내 에너지 상황을 크게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 원장의 마지막 이야기가 왜 바이오연료를 연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쾌한 해답일 것이다. “경쟁은 ... ...
[Green Economy 기업 인사이드] 바이오부탄올 국내 기술로 양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브라질 등에서 기술 개발이 완료돼 있었기 때문에 원료부터 기술까지 모두 해외에서
수입
해야 하는 실정이었다”며 “외국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바이오부탄올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바이오부탄올, 연비 높고 부식문제 없어 바이오부탄올은 연료 자체로서도 바이오에탄올보다 뛰어난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안 될 때 먹거나 그러면 소화잘 되는 느낌? 하지만 제품에 들어있는 유산균이 대부분
수입
된다는 사실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 노혜지/서울 면목동] 그건 생각 전혀 못했어요. 서양의 유산균은 토종에 비해 생강이나 고추, 마늘과 같은 우리 양념에 대한 생존률이 절반 수준입니다. 특수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⑥] 흐르는 강물처럼, 다목적 수력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대한 우려도 있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부존자원이 부족하고 대부분의 에너지를 외국에서
수입
해야하는 나라에서는 일정 규모의 댐 건설을 통한 수력발전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오늘날은 이상기후와 기후변화가 지구촌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력발전은 환경오염을 줄일 뿐만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