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성공]"(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동아사이언스 l2012.09.10
- “바이오 분야는 환자를 기준으로 생각해야, 필요한 연구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거둔 연구 성과가 빠른 시일 내에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거죠.” 박성회(65·사진) 서울대 의대 병리학교실 교수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이 과학자와 힘을 합칠 때 좋은 성과를 빠르게 가져온다고 ...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동아사이언스 l2012.08.13
- 김성호 UC버클리 화학과 교수는 지난 6월 16일 열린 제20회 NEBS 연례 컨퍼런스에서 ‘환자 맞춤형 항암 신약 개발 : 도전과 성공’이라는 주제로 특강했다. NEBS 제공“암에 걸린 환자에게 의사들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를 먼저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삶의 질’이에요 ...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동아사이언스 l2012.07.23
- 박호용 인섹트바이오텍 최고기술책임자(CTO). 김수비 기자 “바이오 벤처에서 성공한 기업이 많이 나오려면 창업하는 벤처 기업의 수가 그만큼 많아야 합니다. 10%의 성공확률로 1000개 벤처 기업 중 100개 기업이 살아남는 것과 30%의 성공확률로 10개 기업 중 3개가 살아남는 것은 차원이 다르지요.” 13 ...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9
- 박한오 바이오니아 사장이 자사에서 개발 중인 분자진단 건강검진 기계 옆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분자 진단을 이용하면 질병을 초기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대량의 분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스티브 잡스는 아무리 좋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KASBP는 6월 18일 미국 보스톤에서 ‘한미FTA와 세계화‘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세계회를 위해서는 해야할 것들이 무척 많습니다. 우선 해외 한인 과학자들을 적극 활용해야죠. 또, 아이디어 중심의 벤처 육성과 전임상·임상을 위한 연구자도 ...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동아사이언스 l2012.07.01
- 2012 바이오컨벤션의 전경 “서로 연결하고 파트너를 찾고 혁신하라!(Connect, Partner, Innovative)” 생명공학박람회인 ‘2012 바이오 국제컨벤션(2012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이하 BIO)가 지난달 18일부터 나흘간 미국 보스톤 보스톤전시컨벤션센터(Boston convention&Exhibition Center)에서 열렸다. BIO는 미국바이오협 ...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2.06.26
- “생명과학기술 육성, 첨단 유전자 과학, 신약개발…. 다 좋은 말입니다. 이런 정책도 꼭 필요합니다. 하지만 중소 벤처기업이 원하는 바이오 정책은 따로 있습니다. 기업친화적인 생명과학 정책을 펴려면 먼저 시장을 둘러봐야 합니다.” ‘생명과학’분야는 농업부터 인간 유전자 연구까지 넓지 ...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동아사이언스 l2012.05.21
- 라승용 농진청 농업과학원장이 16일 ‘바이오선진화!‘ 인터뷰를 통해 농업생명공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풀어냈다. 농촌진흥청 제공 “2000년에 ‘바이오그린21’ 과제를 추진하려고 국회에 100번도 넘게 갔어요. 그 때 국회의원들에게 ‘지금까지 삽으로 하던 일을 포크레인으로 해 보겠다’고 했 ...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2.04.23
- “인력과 천연자원이 풍부한 동남아시아, 제약 기술이 뛰어난 선진국, 이 사이에서 한국은 뭘 할 수 있을까요. 제 생각엔 ‘그린 바이오’, 즉 농수산식품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18일 서울 동작구 신대방2동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만난 송종국 원장(56·사진)은 앞으로 전략적으로 투자했 ... ...
- “BT 연구개발, 부처간 이기주의 심하다”동아사이언스 l2012.04.18
- "제가 생각하는 국내 바이오 R&D의 점수는 B⁰(비제로)입니다. 점수가 너무 짠가요? 현재와 같은 예산 지급 투자 시스템으로는 이 점수도 잘 준 편입니다.”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본원에서 만난 유승준 생명복지사업실장은 국내 바이오 R&D에 대해 냉정한 평가를 내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