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MK-D1은 아미노산을 먹이로 삼아 이를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MK-D1 게놈을
해독
해 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도 이 관찰을 뒷받침했다. 아미노산 분해 과정에서 나오는 전자는 수소분자나 포름산염 형태로 배출되고 가까이 있는 공생 미생물이 이를 이용해 살아나간다. 한편 MK-D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자신은 죽지 않고 후손들만 죽는 이유도 밝혔다. 사실 연구팀은 GM 모기가 죽지 않도록
해독
제로 ‘테트라사이클린’이라는 물질을 함께 주입했다. 테트라사이클린은 사람도 흔히 먹는 항생제 성분인데, GM 모기의 체내에 들어가면 tTVA 단백질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GM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말이다. 이런 음식을 반복적으로 먹게 되면 특정 침단백질 유전자의 발현량이 늘어나고
해독
능력이 늘어남과 동시에 쓴맛에 둔감해지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가 비만의 만연을 유발한 현대사회의 잘못된 식생활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했다. 채소를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 ...
“유전자 교정 아기, 건강 문제 계속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더 잘 걸린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초 영국에서는 40만 명의 영국인 DNA
해독
결과를 분석한 결과 CCR5 델타32 변이인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76세까지 살 확률이 20%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각에서는 이 연구를 근거로 “루루와 나나가 다른 사람보다 일찍 죽을 수 ... ...
'생각만으로 소통하는 시대' 저커버그 꿈 실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아직 정확도가 낮고 매우 제한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등 제약 있지만 향후 연구를 통해
해독
정확도와 그 범위를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챙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생각의 증거를 보여준다”며 “인간 뇌를 해킹한다는 우려도 있지만 그게 가능하더라도 나는 그 부분에 관심이 없으며, 대화를 ... ...
"동물실험 안 한다" 세계적 英 연구소 두 곳 동물실험실 폐쇄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크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네이처는 “영국의 동식물 6만 6000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독
하는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나 인간이 지닌 모든 세포의 서열 지도를 만드는 ‘휴먼 셀 아틀라스’ 프로젝트 등 다른 프로젝트의 비중이 늘면서 동물실험이 줄었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부인하지만, ... ...
세포의 ‘바코드’ 읽어 암세포 천적 면역세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지노믹스, 일루미나, 캡처식 등 유전체
해독
장비 기업 4곳에서 개발한 각기 다른 유전체
해독
기술을 이용해 유전정보를 한 번에 읽는다.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의 종양과 림프절, 두 조직에서 추출한 세포 7138개를 이 기술을 이용해 한 번에 스캔하는 데 성공했다.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 ...
후천적으로 발생한 뇌 돌연변이가 알츠하이머 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병 환자 52명의 뇌에서 얻은 내후각피질을 분석해 전장 엑솜 유전체 서열 데이터를
해독
했다. 연구팀은 약 20테라바이트의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연구팀은 실제로 알츠하이머 병 환자의 뇌에 후천적으로 발생한 유전자나 유전자 조합인 ‘체성 ... ...
생명연, 대규모 유전체 정보 저장 및 분석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
기술을 발전시키고 분석비용을 줄일 수 있어 유전체 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유전체 분석 시스템 개발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에는 생명연 외에 ... ...
초미세 빨대로 미세한 물질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기술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영 교수는 “차세대 인간 유전체
해독
기 개발에도 중요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4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