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생성하는 유사 난수로 만든 다른 암호는 즉각
해독
되지만 결정으로 생성한 난수를
해독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축되지 않았다. 결정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매 순간 임의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지금 만든 결정 난수생성기는 최대 초당 25kB(킬로바이트)로 컴퓨터 유사난수발생 프로그램에 ... ...
기존 바이러스 유전체와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바이러스에 ‘야라바이러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연구진은 야라바이러스의 유전체를
해독
하고 지금까지 발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와 일치하는 점이 없음을 확인하고 생물학과 의학 분야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발표했다. 기존 바이러스의 유전체와 전혀 ... ...
[표지로 읽는 과학] 37개국이 함께 만든 '암 유전체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2.08
38가지 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로부터 암 조직 샘플 2658개를 얻었다. 암 조직의 유전정보를
해독
하고, 같은 환자들에게서 추출한 정상 세포의 유전정보를 분석해 비교했다. 암세포와 정상 세포 간에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분석해 암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를 찾았다. 그 결과 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 ... ...
"아프리카인도 네안데르탈인 DNA 다수 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2010년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팀은 네안데르탈인 게놈을
해독
한 뒤 분석해 현생인류가 약 8만 년 전쯤 아프리카를 벗어나 유라시아 지역에서 네안데르탈인과 만나 섞였고, 그 자손이 동서로 퍼져 지금의 유럽인과 아시아인을 형성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유라시아인 등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여부 6시간이면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검체를 확보해 충북 오송의 질병관리본부로 보내야 했다. 여기서 염기서열
해독
을 거쳐 중국에서 발표한 바이러스 유전자와 비교하는 식으로 어떤 종류인지 판단했다. 분석에 하루가 걸릴 뿐 아니라 여러 검체의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새 검사법은 PCR 기술에 신종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환자 최초 발생지 화난수산시장 아닐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1.27
시장에 유입된 경우 등의 시나리오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앤더슨 연구원은 “
해독
한 바이러스들의 변이를 고려했을 때, 이들의 공통조상은 10월 1일쯤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중앙방송(CCTV)은 26일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가 화난수산시장에서 수집한 585개의 시료 가운데 3 ... ...
명절 모여도 스마트폰만 본다…'휴먼 스크리놈' 필요한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1.24
접근해야 인간게놈프로젝트의 로고(왼쪽). 인간 유전체를 구성하는 모든 염기서열을
해독
하는 프로젝트로, 1990년에 시작해 2003년에 완료했다. 학계는 다차원적이고 세분화한 연구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람들이 사용하는 플랫폼과 콘텐츠를 정교하게 관찰하고 플랫폼 간 또는 콘텐츠 ... ...
천재 수학자 앨런 튜링의 도난당한 유품, 36년만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1.24
값어치는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산된다. 앨런 튜링이 1942년 독일의 에니그마 암호
해독
에 몰두할 당시 기록한 56쪽 분량 친필 노트는 2015년 미국 뉴욕 본햄 경매에서 102만 5000달러(약 12억 원)에 팔렸다. 2016년엔 앨런 튜링의 서명이 담긴 편지가 13만 6122달러에 판매되기도 했다. 이번 사건은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2020.01.21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게 별로 없다. 환자 다섯 명의 분비물에서 얻은 바이러스의 게놈을
해독
한 결과 기존에 알려진 6종 가운데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가장 가깝다는 것 정도다. 사스와 메르스에 이어 세 번째로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등장한 것을 계기로 코로나바이러스의 기원과 진화를 ... ...
'미니장기'로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수집한 뒤 AI를 이용해 특정 환자에게 약이 맞는지 추측하고 개인 유전체(게놈)를
해독
해 약효를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성체줄기세포 오가노이드는 인체 장기에서 빼낸 세포를 이용해 오가노이드를 만들고, 이를 키워 다시 인체에 이식해 치료를 할 수 있다. 사진은 구본경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