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뉴스
"
필름
"(으)로 총 52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픈 주삿바늘, 안녕~" 반창고형 주사 니들패치 붙여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8.25
없었다. 줄곧 기계공학 분야만 연구해온 정 본부장은 “DNA 단백질로 전자소자나 광학
필름
에 들어갈 미세구조체를 개발하던 중 ‘전자기기에 쓰기엔 물에 너무 잘 녹는다’는 생각에 막막했다. DNA 단백질 미세구조체를 어떻게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 니들패치를 떠올리게 됐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핫 하우스' 지구, 더 이상 픽션이 아니다
2018.08.21
'와 '핫하우스(hothouse)'는 혼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전자는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으로 감싼 공간을 태양의 복사에너지만으로 따뜻하게 하는 온실이고 후자는 추가로 난방을 해서 온도를 더 높일 수 있는 온실이다. ‘핫하우스 지구’는 산업화 이전보다 평균기온이 5도 이상 더 높은 ... ...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의 바이오
필름
제거
과학동아
l
2018.08.16
유발해 박테리아를 사멸시킨다. 또한 박테리아의 세포 신호전달을 방해해, 바이오
필름
형성에 필요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연구를 주도한 최종훈 중앙대 융합공학부 교수는 “박테리아만 선별적으로 사멸할 수 있다”며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도 공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
김 서리지 않는 스마트 안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7
유리 렌즈와 동일한 98%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리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필름
등 다양한 소재 위에 형상과 곡률에 관계없이 제작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다. 이는 기존 금속 배선 인쇄 기술의 해상도를 5배 이상 향상시킨 결과다. 연구진은 레이저 회절 광학계로 전구의 ...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당신의 머리카락을 쓸어주고파
과학동아
l
2018.08.02
물질을 스며들게 하는 나노콘파인먼트 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신축성 있는 고분자 반도체
필름
. - University of Windsor 제공 배터리에 대한 고민도 일부 해결됐다. 고려대 전경용 미래융합기계시스템사업단 교수와 한창수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전원 없이 작동하는 전자피부를 개발해 올해 2월 ...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내 목소리가 들리나요
과학동아
l
2018.08.01
황반변성으로 시력을 잃은 원숭이에 삽입하는 데 성공했다. 오유렙은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
에 빛에 반응하는 특수 색소를 입힌 장치다. 망막 바로 그 아래층에 끼워 넣기만 하면 색소가 빛에 반응해 그 아래에 깔린 시신경을 직접 자극할 수 있다. 외부 광원이나 배터리, 카메라가 필요 없다는 게 큰 ... ...
저절로 접히고 펴지는 ‘자가 변형
필름
’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31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기기 개발이 활발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임의로 힘을 주어 구부리지 않는 ... 논문으로 게재됐다.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이 가능한 ‘자가변형
필름
’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 ...
휘는 디스플레이에 군용방탄복까지...'꿈의그래핀' 상용화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7.20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기존 기업의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 중 코팅 과정에 들어가는
필름
만 그래핀으로 바꿔 주면 돼 적용하기도 쉽다. 현재 국내 기업과 성능을 검증 중이며, 검증을 통과할 경우 1~2년 안에 그래핀 적용 디스플레이가 양산될 전망이다. 그래핀스퀘어는 그래핀기술을 적용한 ... ...
[카드뉴스] 보이지 않아도 알아요
2018.07.12
방식으로 재료를 3차원 구조로 만드는 ‘키리가미(きりがみ)’ 방식을 채용해 얇은
필름
형태의 나노 헬스케어 탐침을 개발했다. 이는 쉽게 휘어져서 몸에 붙여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 연구팀은 대뇌 피질처럼 주름진 대뇌 피질 등에 안정적으로 붙여 알츠하이머 등을 모니터링하고 치료할 때 ... ...
2018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강봉균 서울대 교수·박진수 LG화학 부회장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6.25
전남 여수 공장의 에너지 효율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또 디스플레이용
필름
과 2차 전지 등 경쟁력 있는 정보전자소재를 개발해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시상식은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8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개회식 때 열린다. 수상자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