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뉴스
"
필름
"(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저절로 접히고 펴지는 ‘자가 변형
필름
’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31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기기 개발이 활발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임의로 힘을 주어 구부리지 않는 ... 논문으로 게재됐다.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이 가능한 ‘자가변형
필름
’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 ...
휘는 디스플레이에 군용방탄복까지...'꿈의그래핀' 상용화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7.20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기존 기업의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 중 코팅 과정에 들어가는
필름
만 그래핀으로 바꿔 주면 돼 적용하기도 쉽다. 현재 국내 기업과 성능을 검증 중이며, 검증을 통과할 경우 1~2년 안에 그래핀 적용 디스플레이가 양산될 전망이다. 그래핀스퀘어는 그래핀기술을 적용한 ... ...
[카드뉴스] 보이지 않아도 알아요
2018.07.12
방식으로 재료를 3차원 구조로 만드는 ‘키리가미(きりがみ)’ 방식을 채용해 얇은
필름
형태의 나노 헬스케어 탐침을 개발했다. 이는 쉽게 휘어져서 몸에 붙여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 연구팀은 대뇌 피질처럼 주름진 대뇌 피질 등에 안정적으로 붙여 알츠하이머 등을 모니터링하고 치료할 때 ... ...
2018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강봉균 서울대 교수·박진수 LG화학 부회장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6.25
전남 여수 공장의 에너지 효율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또 디스플레이용
필름
과 2차 전지 등 경쟁력 있는 정보전자소재를 개발해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시상식은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8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개회식 때 열린다. 수상자는 ... ...
배터리 필요 없는 ‘스마트 장난감’
과학동아
l
2018.06.22
생산하는 나노 발전기를 달았다. 나노 발전기는 알루미늄 전극 사이에 친환경 실리콘
필름
을 끼워 넣어 만들었다. 여기에 마찰을 가하면 알루미늄에 대전된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가 발생한다. 연구팀이 만든 스마트 장난감은 고무 오리를 개조한 ‘스마트 오리(SDT-TENG)’와 ‘손뼉 치는 장난감 ... ...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비행 후 해상회수 성공…저비용 지구관측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0
적힌 깃발이 보인다. - 서울대 공대 제공 국내 첫 과학기구인 스누볼은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
으로 만든 지름 7.4m의 풍선 밑에 탑재체를 실을 수 있는 상자가 달린 형태다. 풍선 안에는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 가스가 채워졌다. 무게는 21㎏ 수준이다. 과학기구는 운용비용이 인공위성보다 10~100분의 1 ... ...
온실가스 CO₂→ 필수자원 ‘포름산’ 바꾸는 인공나뭇잎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6.19
이번에 새로 개발한 광촉매는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기존에 개발했던 얇은
필름
형태의 광촉매보다 태양광을 받는 표면적을 더 넓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결과 태양광 전환 효율이 과거에 비해 150% 증가했다. 포름산은 주로 화석연료에서 합성된 알코올(메탄올)을 원료로 ... ...
[테마영화] 언제까지 나올까?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시리즈 영화 BEST 3
2018.06.02
역사가 그대로 담겨 있다. 영화 ‘스타워즈’ 스틸컷 비교적 최근에는 제작사 루카스
필름
이 거대 미디어 그룹 디즈니에 인수되면서 스타워즈의 세계관은 후속 트릴로지뿐 아니라 한 솔로, 보바 펫을 주인공으로 한 각종 스핀오프 제작 등 더욱 넓은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 ...
'인공망막' 제조 앞당긴다...색-밝기 구분하는 '빛 감지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비유하자면, 렌즈(수정체)를 통과한 물체의 이미지가 맺히는 빛 감지 소자(CCD) 또는
필름
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망막은 빛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를 두 종류 지니고 있다. 하나는 ‘원추세포’로, 빛의 3원색인 빨강, 파랑, 초록을 각각 흡수하는 세 종류의 광(빛)수용 단백질을 지니고 ... ...
다이아몬드로 ‘휘는 바늘’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20일자에 공개했다. 다오 연구원팀은 실리콘 기판 위에 탄소를 증기 형태로 뿜어 얇은
필름
형태의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들고, 여기에서 돌출된 부위를 키워 길이 약 3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작은 바늘을 만들었다. 그 뒤 바늘 끝을 에칭(부식) 처리해 마치 칫솔처럼 길고 끝이 뾰족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