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뉴스
"
외계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옆집에 사는
외계
인
팝뉴스
l
2019.01.22
상체를 드러내고 있었다고 한다. 사람은 아니다. 지구상의 또다른 동물도 아니다.
외계
인이라고 밖에는 볼 수 없다. 많은 네티즌들은 사람이 저런 가면을 쓰고 창밖을 내다보고 있는 것 같다면서 의도를 알 수 없다고 말한다. 주변 사람들에게 겁을 주기 위한 행동인지 아니면 웃음을 주기 위한 ... ...
25억년 전, 미생물은 황으로 호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아니라, 암석권 깊은 곳에서 황을 기반으로 한 미생물의 활동을 확인하고 나아가
외계
행성에서 생명 활동을 추적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후예 테스…
외계
행성·초신성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테스 우주망원경을 통해 임무기간 내 약 1만 개의
외계
행성과 수 백 개의 초신성을 발견해, 우주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테스 우주망원경의 임무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제안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옥토끼, 음모론과 신화,동경의 대상 달 뒷면 베일 벗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기지, 심지어 웅장한 성이 있다는 음모론이 돌기도 했다. 더 나아가서는 달에서
외계
인과 조우했다는 얘기도 있었다. 미국과 러시아의 냉전이 첨예하던 시절 달에 군사기지를 지어 거기에 핵폭탄을 설치해 서로 자신의 힘을 과시했었다는 얘기도 존재했다. 달에 토끼가 산다는 얘기는 한국에서는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모스 전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15
수 없는 전자음이 들리더니 바로 끊겨버렸지요. 새로운 유형의 스팸 전화일까요? 혹은
외계
인이 보낸 비밀 신호? 전자음의 정체는 대체 무엇일까요? 섭섭박사님과 함께 알아봐요. 섭섭박사님이 들으신 전자음은 ‘모스 부호’예요. 미국의 예술가였던 사무엘 모스는 1837년 모스 부호를 ... ...
화성 사진의 진실
팝뉴스
l
2018.12.14
본 것은 바로 그 디스플레이 위의 가짜 이미지라는 것이 아래 합성 사진의 주장이다.
외계
인들이 숨기고 싶은 것은 화성에 세워진 화려한 도시의 풍경이다. 물론 사진은 과장되었고 장난스럽다. 그런데 화성이나 다른 행성에 문명의 증거가 없는 게 사실일까. 많은 네티즌들이 아직도 의심하고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② 2024년 누가 먼저 달 보내나 ‘문레이스’
과학동아
l
2018.12.12
도전하고 달성해왔다”면서 “언젠가는 달 탐사를 넘어 화성이나 금성, 더 나아가
외계
행성을 탐사하고 거주할 날이 반드시 오리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 ... ...
지하에서 화성 생명체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생명체가 아니다. 땅속 깊숙한 곳에서 사는 생명체 이야기다. 우주가 아닌 지구에서
외계
생명체의 단서를 찾으려는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34개국 과학자 300여명이 참여한 ‘딥 카본 관측소’(DCO)는 이달 10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지구물리학회’의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못한 현상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오무아무아가 마치 돛단배처럼 태양풍을 받아 가속하는
외계
인공구조물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당시 연구팀은 “태양계는 우주에서 너무나 작은 천체인데 여기에 접근한 데에는 계획적인 의도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지만, 이번 연구로 일단 가능성은 줄어든 ... ...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11.26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TRAPPIST-1에는 7개의
외계
행성이 있고, 그 중 3개는
외계
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할 수 있는 인공조명을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제임스 클락 MIT 항공우주학과 연구원은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