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뉴스
"
외계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
2019.09.08
도대체 인류사에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외계
생명체라도 침범했던 것일까? 다음 화 미리 보기 I 자본 체화 가설 Pixabay 삶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시기에 달성해야 할 적응적 목표가 다르다. 어린 시절에는 성장을, 성인기에는 번식해야 한다 ... ...
공포 주의, 괴 생명체가 나타났다?
팝뉴스
l
2019.09.04
두 세 마리의 벌레를 붙여 놓은 것처럼 보인다는 평이 나온다. 또 지구 생명체가 아니라
외계
에서 날아온 것이 분명하다고 확신하는 네티즌들도 일부 있다. 미국의 한 유머 사이트는 “번식기의 나방 모습”이라고 설명해 놓았다. 납득하는 네티즌도 있지만 뭐라고 설명 해도 정상적인 지구 ... ...
마윈 "AI 위협 아니다" vs 머스크 "좋은 일인지 모르겠다"
연합뉴스
l
2019.08.30
없다"는 농담을 건네며 머스크에게 왜 화성에 관심을 두느냐고 물었다. 마윈의 별명은 '
외계
인'이다. 머스크는 "우리는 우주의 본질에 대해 더 잘 이해함으로써 다른 행성에 가서 생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지구에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이 생기거나 '외부의 힘'에 의해 문명이 ... ...
바닷가에서 발견한 괴물 같은 물고기
팝뉴스
l
2019.08.25
깜짝 놀라게 만든 물고기는 늑대 장어 wolf eel이다. 스타워즈 등 SF 영화에 나오는
외계
생명체를 닮았는데 얼핏 귀엽기도 하다는 평가가 많다. 해외 네티즌들은 핑크빛 이빨이 인상적이라고 말한다. ‘분홍색 수정 보석’을 연상시킨다고 말하는 댓글도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약 48광년 밖 지구형
외계
행성 표면 스피처 망원경 직접 관측
연합뉴스
l
2019.08.21
행성이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여전히 갖고 있다"고 밝혔다. 논문 공동저자인 JPL의
외계
행성 과학자 후런위 박사는 LHS 3844b의 표면이 "상당히 어두우며" 화산석의 일종인 현무암으로 덮여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달의 어두운 부분이 고대 화산활동으로 생긴 것처럼 이 행성에서도 같은 현상이 ... ...
국내 연구진, 가장 먼 '왜소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24시간 탐사하고 있다. 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왜소신성은 지금까지 발견했던 가장 먼
외계
신성보다 8배 먼 거리에 위치한다. 우리 은하 평면에 위치하지 않고 위로 약 5500광년 떨어진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별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 우리은하 평면을 포함해, 주변에 별이 희박하게 공 모양으로 퍼져 ... ...
별과 가까운 '슈퍼지구'에선 생명체 살기 힘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행성 사냥꾼'이라는 별명을 가진 테스(TESS)가 지난해 활동을 시작하며 처음 발견한
외계
행성들 중 하나다. 지구로부터 49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LHS 3844를 11시간 주기로 돌고 있다. 크기는 지구보다 1.3배 크다. 태양의 5분의 1 크기에 온도도 섭씨 2700도 정도로 낮은 적색왜성을 돌고 있지만 별과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계
의 전파 신호, 정확한 위치가 잡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일어나는 일이라 정확한 발생 원인과 발생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우주에서 보내오는 ‘
외계
인의 신호’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까지 발생 위치가 파악된 FRB는 'FRB 121102' 하나 뿐이다. 지금까지 100회 넘는 신호를 반복해서 보내고 있기에 위치 파악에 성공했다. 이번에 과학자들은 ASKAP를 ... ...
73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외계
행성 3개 동시 발견… 생존 가능 행성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망원경 'TESS'는 지구로부터 73광년 떨어진 곳에서 TOI 270 행성계를 발견했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 망원경이자 '행성 사냥꾼'이라는 별명을 가진 테스(TESS)가 지구로부터 73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보다 작은 항성(별)을 돌고 있는 슈퍼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언어로 쓰여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 덕분에 수많은 후손들이 수학이라는 ‘
외계
어’로 쓰인 과학을 배우느라 골탕을 많이 먹기도 했지만. 플라톤은 자신이 소크라테스라는 위대한 철학자의 제자였듯이 플라톤도 자기 못지않게 아주 위대한 제자를 두었다.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였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