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뉴스
"
성공]
"(으)로 총 10,333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한계 넘었다…유전자 6개 동시 교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국내 연구진이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고효율 다중 유전자 교정 기술을 개발했다. 유전자가위 기술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유전자 교정 기술을 개발했다. 바이오파운드리 기반의 자동화된 유전자 설 ... ...
친환경 항공유로 거듭난 폐목재 유래 성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국내 연구진이 폐목재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인 리그닌을 친환경 항공유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목재의 이미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폐목재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인 리그닌을 친환경 항공유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항공 산업의 탄소 ... ...
160년 만에 밝혀진 ‘멘델 완두콩의 마지막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멘델이 유전법칙을 정립하는 데 활용한 완두콩의 7가지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모두 규명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9세기 오스트리아 수도사였던 그레고어 멘델은 완두콩 교배 실험을 통해 유전의 법칙을 정립했다. 멘델이 유전법칙을 정립하는 데 활용한 완두콩의 7가지 형질 중 4개는 이후 ... ...
10나노 두께 열감지 필름 개발…초경량 야간투시경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야간투시경은 미세한 빛을 증폭시켜 밤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야간투시경은 미세한 빛을 증폭시켜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장비다. 사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민감하게 감지하는 매우 얇은 필름이 개발돼 무겁고 큰 ... ...
[과기원NOW] GIST, Cryo-EM 도입 심포지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광주과학기술원(GIST) 중앙기기연구소에서 Cryo-EM 런칭 심포지엄을 개최돼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최첨단 분자 구조 분석 장비인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Cryo-EM) 도입을 기념한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1월 중앙기기연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조기 대선 집어삼킨 AI 공약 현실적인가
2025.04.23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가 국방과학연구소 17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AI 기반 무인체계 연구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조기 대선에 나선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인공지능'(AI)를 강조하고 있다. 모두가 '인공지능 3대 강국'의 꿈을 위 ... ...
근적외선 뿜는 '생체분자 플라빈' 최초 구현…몸 깊숙한 곳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생체 분자인 플라빈의 분자 구조 변화에 따라 방출하는 빛이 달라지는 모습.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고리 수가 많아지고 산소, 황 같은 이종 원자가 도입되면 근적외선까지 발광할 수 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생체 내에서 빛을 내는 분자인 플라빈으로 근적외선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분자 ... ...
DNA 넘어 RNA 시대…혈액검사, 암과 장기 손상까지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리보핵산(RNA) 분석 기반의 새로운 액체 생검 기술이 개발됐다. 혈액검사를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리보핵산(RNA) 분석 기반의 새로운 액체 생검 기술이 개발됐다. 암세포 존재와 치료 저항성, 장기 조직 손상까지 파악할 수 있다. 간편한 혈액검사로 다양한 질환 정보를 확인할 수 있 ... ...
김성각 명예교수 12억원 상당 주식 KAIST 기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왼쪽부터 이광형 KAIST 총장, 김성각 KAIST 화학과 명예교수. KAIST 제공 KAIST는 김성각 화학과 명예교수가 12억 원 상당의 한켐 주식 12만 주를 기부했다고 22일 밝혔다. 김 교수는 1999년 유기합성 분야 우수연구센터(SRC)인 ‘분자설계합성연구센터(CMDS)’를 KAIST에 유치하며 한켐과의 협력을 시작했다. ... ...
2차원 물질 오염 없이 쌓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설재훈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이 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한 이황화몰리브덴(MoS2) 전사 실험을 시연하고 있다. 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2차원(2D) 물질로 소자를 만들 때 발생하는 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2차원 물질을 활용한 차세대 전자·광소자의 성능과 신뢰도를 크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