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과"(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반사돼 레이더에 포착된다. 반면 히든 크레바스가 있는 빙하는 마이크로파가 눈을 통과한 뒤 지표면의 얼음에서 반사되지 않고, 수십m 절벽 아래에서 반사된다. 레이더 영상을 광학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비교하면 히든 크레바스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사용되는 유리는 단단하다. 크게 휘지도 않고, 빛 외의 물질에는 잘 반응하지도, 통과시키지도 않는다. 당연히 고체 같다. 하지만 현미경으로 본 유리의 내부 구조는 심히 액체스럽다. 입자들이 마구잡이로 배열돼 있기 때문이다.보통의 물질에서 고체는 단단하고 액체는 그렇지 않은 이유는 입자 ... ...
- [스쿨리포트 A+] 과학적 논리 표현하기, 과학탐구 토론대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진행하는 과학탐구 토론대회의 경우 개요서 평가를 통해 1차 예선을 치른 뒤 이를 통과한 조끼리 토론을 진행합니다. 토론은 ‘주장 발표하기-작전타임-질의응답하기-작전타임-주장다지기’ 순으로 진행되는데요. 이때 주어진 작전타임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시간에 다른 ... ...
- [기획] 장난감이 무시무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전통 게임 ‘세네트’로 운을 시험했지요. 보드의 각 칸은 지하세계인 ‘두아트’를 통과하는 여정 속 다양한 방을 상징한답니다. 세네트가 단순한 놀이가 아닌 종교적 의미를 얻게 된 시기는 지난 2월에 밝혀졌어요.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학교 월터 크리스트 박사팀이 미국 ... ...
- [퍼즐라이프] 풀면 갇히고 꼬면 빠진다! 클로버 퍼즐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작은 세 잎 매듭이 만들어지도록 하면 철사와 끈이 기존 매듭을 유지하면서도 고리가 통과할 수 있거든요. 그림①-2처럼 만드는 방법은 여러분에게 맡길 테니 도전해보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물어봐 주세요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한 예로 부산에서 네덜란드 로테르담까지 선박으로 항해할 때 지금처럼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면 거리가 2만1000km이다. 북극 항로를 이용하면 1만2700km만 항해하면 된다. 총 45일 걸렸던 거리를 35일 만에 갈 수 있다. 연료비 등 선박 운항에 필요한 비용이 그만큼 절약된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들을 가라앉힌 뒤 윗물만 여과지로 보낸다. 여과지에서는 물을 모래와 자갈층에 통과시켜 작은 불순물 입자들을 한 번 더 거른다. 이렇게 걸러낸 물은 고도정수처리장으로 보내진다. 고도정수처리장에서는 오존의 산화력과 활성탄의 흡착력을 이용해 물을 정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량의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주목했다. 그들은 나노 구멍 양쪽에 전압을 걸고 구멍 속으로 DNA 염기서열을 통과시키면 통과하는 염기에 따라 전기신호가 달라지는 현상을 활용했다. 전기신호의 차이를 컴퓨터로 분석하면 염기서열을 해독할 수 있었다. 나노포어 시퀀싱은 이론적으로는 100만 개 염기로 된 한 가닥의 DNA ... ...
- 과학동아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혜성이에요. 당시 최고 밝기가 -10등급에 달했지요. 그 다음으로는 2007년 1월, 지구 근처를 통과한 맥노트 혜성이 -6등급의 밝기를 자랑했답니다. 아틀라스 혜성은 예상 최대 밝기가 -5등급이니, 이대로 다가온다면 그 뒤를 이을 예정이지요. 5월에서 6월 사이에 최대 밝기에 이른다고 하니 어과동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 SNS 게시물, 유튜브 동영상, 팟캐스트 음원 등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1차 심사를 통과한 작품 15편에 대해 최종 심사가 이뤄졌고, 이강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정책보좌관), 이현경(과학동아 편집장) 등 두 명이 심사를 맡았다. 수상작은 두 심사위원의 평가점수를 합산해 고득점 순으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