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찌그러뜨림
뒤틀기
비틀림
왜곡 보도
곡해
d라이브러리
"
왜곡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경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성숙하지 않은 어린이들은 진하게 색이 들어간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색
왜곡
현상이 계속돼 눈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선글라스 착용시 주의할 점 한가지. 맨눈보다 편안하다고 장시간 내리쬐는 태양을 바라보아서는 안된다. 선글라스는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효과는 높지만, ... ...
신비 고고학으로 치장한 백인 우월주의 스타게이트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수탈과 착취를 당해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신비화가 동양의 참모습을
왜곡
시키고 변형시켜왔다는 사실도 기억해 둬야 할 것이다. 신비의 대상은 그 신비가 사라지면 매력을 잃고 버려지는 법이기 때문이다 ... ...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뜻한다.그러나 질량이 큰 블랙홀에서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질량이 클수록 중력에 의한
왜곡
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양질량의 1천만배에 달하는 블랙홀에 빠져들면 우주비행사의 몸은 약간만 늘어날 뿐이다. 결국 죽는 일은 없다. 우리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은 태양질량의 약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1. 전자시대 최대의 발명품 TV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하기 위해서 화면을 둥그렇게 만드는데, 이 때문에 화면 주변이 일그러진다. 이 같은 화상
왜곡
은 화면이 클수록 크다.그래서 등장한 것이 액정표시장치(LCD)이다. LCD는 2개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후 전압을 가해 광학적 굴절 변화를 만든다. 이를 이용하면 문자, 도형, 화상 등을 표시할 수 ... ...
환생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맞고 있었다. 중력의 개념도 이해가 되지 않은 상태였고, 천동설이 지배적이었다. 그런
왜곡
된 과학 지식이 바탕이 됐음에도 다 빈치는 뛰어난 분석력을 바탕으로 서양과학의 근간이 되는 이론들을 레스터 사본에 기록하고 있다.이번 전시회와 관련된 기념품을 인터넷으로 구입할 수 있다. ... ...
3. 잠재의식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무엇인지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어릴 때의 기억이나 중요한 사건의 기억에 약간의
왜곡
이나 환상이 곁들여지는 경우도 있는 반면에,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신비롭게 정확한 기억을 되살리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현재 가장 논란의 대상이 되는 대표적인 기억이 바로 전생(前生)의 삶에 대한 ... ...
인류의 15%, 일생에 한번은 우울증에 빠진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있게 되는 것이다.물론 어떤 때는 애도 작업이 순조롭게 흘러가지 않고 흐름이 병적으로
왜곡
돼 막히는 경우도 있다. 정상적인 슬픔에서보다 이런 비정상적인 형태의 애도로부터 우리는 우울증의 성질과 유사한 부분들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 우울증 환자들에게서 흔히 보이는 심한 죄책감과 자신을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우리는 너무 무관심하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나라 학자들이 우리의 과학사를
왜곡
하는 일이 진행되고 있다. 다른 예로 1966년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8세기 초) 목판인쇄물인 ‘다라니경’을 들 수 있다. 중국학자들은 당(唐)에 유학간 학생과 승려가 이것을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실제 존재하는 것들이 아니다. 이것은 사진 중심에 있는 '0024+1654' 라는 성단에 의해
왜곡
된 은하의 허상이기 때문이다. 곧 중력렌즈가 마든 '신기루'를 구경하는 꼴이다. 노랑색 타원은하와 나선은하들로 이루어진 은하단 '0024+1654'는 지구에서 50억광년 거리에 있으며, '신기루' 처럼 나타난 천체는 그 ... ...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피해는 고농도 오염이 장시간 지속될 때 치명적이므로, 단지 평균치로 실제상황을
왜곡
시킨다면 산성비의 심각성이 과소평가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산성비라 할지라도 처음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는 그 산성도가 심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대기중에는 산성물질 외에도 여러부유물질이 존재하기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