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류
기록
증서
글월
지면
서면
도큐먼트
d라이브러리
"
문서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포함되는 그림형식은 GIF와 JPEG이다. 가령 누군가가 GIF형식의 그림파일을 담고 있는 웹
문서
를 만들어 인터넷에 올렸다고 하자. 이때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사이트를 방문해 그림을 볼 수 있다.만일 한 회사나 개인만이 만들어 사용하는 형식의 그림파일이라면, 이를 볼 수 있는 ... ...
밀레니엄 베스트 사이트 10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 번 사용한 사람들의 만족도는 꽤 높은 편이다. 5만여개의 사이트와 5백만에 가까운 웹
문서
를 검색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고 있다. 실제로 다른 검색사이트보다 원하는 정보가 많이 나온다.일본 웹 여행도 한미르 만의 장점이다. 일본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한글로 번역해 보여주기 ... ...
비무장지대에 대량 살포된 고엽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살포됐다는 점이 밝혀졌다. 주한미군사령부가 지난 1968년 미국 화생방사령부에 보낸 비밀
문서
`‘고엽제 살포작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휴전선 비무장지대(DMZ) 남방한계선 이남 일대에 고엽제가 집중적으로 살포됐다. 살포 면적은 2천2백만평에 달한다.비무장지대에 고엽제를 살포한 이유는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993년 일리노이대학의 슈퍼컴퓨터응용센터에 근무하던 마크 앤드리슨이 월드와이드웹의
문서
형식(HTML)을 쉽게 읽고 쓸 수 있는 소프트웨어(웹 브라우저)인 ‘모자익’을 개발했다. 한마디로 월드와이드웹의 보급에 날개를 단 것이다. 모자익은 얼마후 ‘넷스케이프’라는 이름으로 상품화됐다.그후 ... ...
Y2K스트레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이유에서 정부나 언론에서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다.
문서
를 작성하고,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연도표기가 잘못된다 한들 별 불편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러나 이 때문에 자영업자들이 얼마나 곤경에 처하고 있는지는 아무도 예상치 못했다. 책대여점,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직접 초기파일인 index.html을 만들 수 있고, index.html 파일에서 링크로 연결한 HTML
문서
를 만들 수도 있다. 홈페이지 작성을 위한 HTML 태그를 잘 모를 경우에는 ‘웹위저드’(wiz.iandp.co.kr/)와 ‘웹커’(channel.shinbiro.com/@webker)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으면 된다.홈페이지 작성에 익숙 ...
인터넷PC 꼼꼼 분석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가지로 구성하고, 다시 잘한 일에 여러가지 내용을 적어가는 방식이다. 작성한 마인드 맵
문서
는 여러가지 그림파일을 덧붙여 인터넷으로 쉽게 올릴 수 있도록 했다. 날짜제한기능이 있는 평가판은 한소프트의 홈페이지(www.haansoft.com)에서 무료로 받아볼 수 있다. 소비자가격은 2만7천5백원, 한소프트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선보이고 있고 일본의 대기업들도 앞다투어 개발하고 있다.또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문서
교환 기술을 디지털TV에서도 채택해 컴퓨터로 하는 인터넷을 TV에서도 똑같이 할 수 있다. 이제 디지털TV는 컴퓨터와 서비스 내용이 비슷해져 업계에서는 서로 안방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경쟁할 것으로 ... ...
1. '철세계'에서 환타지 소설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안목을 일제 치하에 있던 우리 청년들에게 소개했다. 당시 이 책을 읽은 학생이 불온
문서
를 봤다고 해서 학교에서 퇴학당하는 일도 있었다(웰즈는 사회주의자였다). 원로작가 박경리도 당시 이 책을 완독했다고 술회한 바 있다. 이 책은 우리말로는 완역된 적이 없고 다만 축약본만 나왔다.본격 SF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가진 에버랜드 동물들동물마다 겉모습으로 정확한 나이를 알아내기는 힘들다. 따라서
문서
로 동물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하지만 누가 누구인지를 구별하지 못하면 이것도 별 효용이 없다. 호랑이처럼 몸집이 큰 동물은 사육사들이 구분을 하지만, 다람쥐 원숭이와 같이 작은 동물의 구별은 힘들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