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류
기록
증서
글월
지면
서면
도큐먼트
d라이브러리
"
문서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사라진 것은 사실이다. 오늘날 1.44MB의 용량에 담을 수 있는 파일은 거의 없다. 심지어
문서
파일조차 이미지 몇개만 첨부하면 이 용량을 넘어선다.그러나 애플컴퓨터의 판단은 너무 성급했다. 플로피는 끝났을지 몰라도 여기에 깃든 아이디어인 임시 저장매체라는 개념은 결코 죽지 않았다. ... ...
실시간으로 메시지 주고받는 메신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전화와 함께 대중적인 통신 수단이 되어가고 있는 전자우편은
문서
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파일까지 보내고 받을 수 있어 음성통화에 국한된 전화의 단점을 보완해주고 있다.하지만 전자우편은 실시간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간단한 메시지에 대한 ... ...
구장산술 주비산경 완역한, 사회학자 차종천교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냈다. 경험분석을 위주로 하는 전형적인 미국유학파 사회과학도인 그가 한문투성이인 괴
문서
와 씨름을 했다니 더욱 의아스럽다.일주일에 한단원씩 아들과 씨름먼저 차종천교수가 아들 세웅에게 수학을 가르쳤던 한달 동안의 비결을 들어보자.차교수는 수능시험을 한달 앞둔 시점에서 자신감을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파일은 바이러스에 거의 걸리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하면 된다.전자우편으로 온
문서
중에 첨부파일의 확장자가 평소에 보지 못했던 파일일 경우 절대 실행하지 말고, 주변에 컴퓨터를 잘 아는 사람에게 먼저 물어보거나 메일을 보내, 문제없는 파일이라는 확인을 받고 실행하도록 한다. 또한 ... ...
정보통신보호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식별 프로토콜 또는 인증 프로토콜,사용자 인증과
문서
의 인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서명,특수한 응용 환경에 사용할 수 있는 특수 디지털 서명,키분배 프로토콜과 이러한 여러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증명할 수 있는 영지식 증명 방식 등에 대해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출처가 의심스럽긴 하죠. 하지만 거기에는 UFO 연구가들이 미국 정보기관의 UFO 관련 극비
문서
를 공개하도록 촉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귀중한 단서들이 담겨 있었습니다.칼 아마도 미국 공군의 역정보팀이 만들어낸 것일테죠. 지금으로서는 정보가치가 없어진 핵실험 관련 사항이 일반 대중들에게 ... ...
CD는 가고 DVD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문서
와 그림,소리 같은 다양한 특성의 자료를 디지털을 이용해 하나로 통합시켜 이용하기 편리하게 해준 컴퓨터.하지만 여전히 고화질의 음향이 뛰어난 영화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기에는 용량이 너무 커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그런데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는 매체가 등장했으니 ... ...
정보화시대 앞서가는 한글의 과학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소리나는 대로 쓸 수 있는 쉬운 글자를 사용하면 백성들의 불편함 뿐만 아니라 관리들의
문서
조작과 같은 사회적인 비리도 없앨 수 있다고 믿었다.오늘날과 같은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공개된 정보를 누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하고 사용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다. 한문 일색인 15세기에 한글과 ... ...
별걸 다 찾아주는 검색엔진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프로그램으로는 씨프렌드(www.seefriend.co.kr)에서 제공하는 P2Pweb이 있으며, 역시 동영상이나
문서
등을 다른 사용자의 PC와 주고 받을 수 있다.인터넷의 규모나 사용자가 날로 증가하면서 저장된 정보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노하우(Know How)가 아닌 노웨어(Know Where)의 ... ...
e북의 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포럼’이라는 협의체를 구성해 전자책의 표준형식을 정해가고 있다. 이 포럼은 차세대
문서
표준으로 자리잡을 XML이라는 메타언어를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XML을 처리해서 화면에 보여주는 뷰어(viewer)가 개발되지 않았다. 그리고 XML이 각 출판사마다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