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문 분석 AI로 여죄 묻고, 조직 검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검거된 범죄자가 이전에 다른 죄를 진 것은 없는지 여죄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직접 만나고 왔어! 목소리가 몽타주를 그린다? AI 수사관 떴다 “통화 가능하세요? 명의 무단 도용 사건이 발생해서 연락드렸습니다. OOO씨 아시나요?” 지난 3월 17일,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 ...
-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해결하고 싶을 때, 그 해법을 자연에서 찾아 자연을 닮게 만든 로봇이에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대윤 박사팀은 독성물질인 메탄올이 잘못 사용돼 많은 사람들이 다치는 사례를 뉴스에서 접하곤 고민했어요. 만약 투명한 메탄올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면 사고를 막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요. ... ...
- [Extended 에디터 노트]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아바타’가 기자와 함께 취재를 가고, 현장의 연구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최신 과학기술을 3차원(3D) 입체로 보고 만질 수 있는 실감나는 Extended(확장)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 더 노력하겠습니다. ※ 편집자 주 이번 달 에디터 노트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MR)이 혼합된 확장현실 ... ...
- [특집] 죄 없는 죄인을 위한 과학수사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만들지 않기 위해 힘써왔다. 하지만 그 노력이 항상 정답은 아니었다. 모순된 증거, 분석 기술의 한계, 과학수사에 대한 몰이해로 억울하게 감옥에 갇힌 사람들이 있었다. 과학수사는 지금이라도 바로잡고자 한다. 무고한 사람들의 소중한 인생을.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죄 없는 ... ...
- 과학이 진실을 밝히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어파인 변환’을 거쳐 정면에서 바라본 이미지가 되도록 정렬한다. 이후 딥러닝 기술로 AI가 방대한 양의 사진 데이터를 학습하도록 하고, 학습을 마친 AI에 두 인물의 사진 또는 영상을 입력하면 동일인인지 확률값으로 알 수 있다. CASE 03. DNA 분석 현재 전 세계 DNA 감식의 표준은 ‘STR(Short Tandem ... ...
- 결백 프로젝트, 과학수사의 모순을 파고들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결백 프로젝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단체가 없다. 뜻이 있는 사람이 없어서도, 기술이 부족해서도 아니다. 큰 이유는 증거를 보관하는 프로세스와 공간의 부재다. 한국의 경우 형의 시효가 끝날 때까지 재판확정기록을 보존하는 규칙은 있지만, 재판확정기록이 아닌 일반 증거물을 보관하는 구체적인 ... ...
- [과학사 극장]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만들었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런 사람이 아닐까? 최형섭 과학기술사 연구자로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과학기술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과기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펜하이머 평전인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번역했으며 저서로는 ‘그것의 존재를 알아차리는 순간’이 있다 ... ...
- 애플이 7년 만에 보여준 미래 'VISION' XR 삼국지가 펼쳐진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XR 헤드셋은 내년 중으로 공개될 전망이다. 정 본부장은 “XR, 그리고 메타버스로 향하는 기술의 방향성은 확실하다”면서 “메타, 애플, 삼성의 움직임이 그 과정을 가속할 텐데, 어느 정도로 가속할지는 앞으로 최소 1년은 지켜봐야 할 일”이라고 내다봤다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당신은 오늘따라 기분이 좋다. 배는 적당히 부르고 햇살은 따사롭다. 콧바람을 흥얼거리던 그때, 평소 갖고 싶었으나 망설이던 물건이 눈에 띈다. 가방일 수도 ... 일상을 누리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제작지원.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열리고, 이 분야에서 다른 실험 기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그로 인해 다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합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이 과학이 발전하는 동력 중 하나입니다. 박건희KAIST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세포 핵 안의 염색질의 움직임과 단백질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유전자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