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15094 폴리멜(Polymele)’ ‘11351 루커스(Leucus)’ ‘21900 오루스(Orus)’ 등 총 5개의 소행성을 관측한다. 이후 목성 뒤 L5 라그랑주 점으로 이동해 2033년 3월부터 트로이군의 쌍성 소행성인 ‘617 파트로클로스(Patroclus)’와 그의 동반자 소행성인 메노에티우스(Menoetius)’를 탐사할 예정이다 ...
- [인터뷰] "여성 과학도들이여, 끈질기게 버텨라”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예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해요.” 도요샛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적도 고에너지 전자 관측이다.황 연구원은 우주방사선이 위성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사람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했다.“2009년부터 항공기 승무원의 우주방사선 피폭량을 계산하고 실측했어요. 이를 통해 승무원을 방사선으로부터 ... ...
- “초기 우주의 블랙홀 및 은하의 생성과정을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수 있습니다. 현재 우주 나이를 기준으로 청소년 은하를 넘어 어린이 은하, 유아기 은하 관측이 일상적인 일이 되는 것이죠. 이런 은하들을 볼 수 있게 되면 외부은하 자체와 함께 은하의 분포가 나타내는 거대구조가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우주론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루고 싶은 목표가 ... ...
- [특집] 수학으로 보는 우주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공간에서 먼 우주를 관측하다니, 앞으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활약이 기대되지? 그런데 도대체 우주 초기에 별과 은하들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지금까지 나 아인슈타인을 포함한 수많은 수학자, 과학자가 연구했지만, 여전히 한 가지 이론으로 설명하긴 어려워 보여. 우주가 어떻게 현재까지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미어캣 전파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합성한 거예요. NASA는 찬드라 X선 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를 주황색, 녹색, 파란색으로, 미어캣 전파망원경의 자료를 연보라색으로 표현했답니다.사진 속 은하 중심부에는 과열된 가스와 자기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펼쳐져 마치 실이 엉킨 것처럼 보여요. NASA는 이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관측 방식으로 주변의 밝은 별빛을 가린 채 외계 행성의 대기나 표면을 정밀하게 관측할 계획이에요. 이를 통해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서 생명체 신호를 직접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특징1. 정육각 거울을 벌집 구조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가장 큰 특징은 거울이야. 주 ... ...
- [이달의 우주 날씨]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내려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1등성들 사이로 유성이 떨어지는 장관이 연출된답니다. 올해에는 12월 14일에 가장 잘 관측될 것으로 보여요. 극대기에는 시간당 약 150개(ZHR=150)의 유성이 떨어질 예정입니다. 과학동아천문대에서도 특별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으니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가장 먼 퀘이사에서 온 어두운 빛 검출을 기대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수 있습니다. 현재 우주 나이를 기준으로 청소년 은하를 넘어 어린이 은하, 유아기 은하 관측이 일상적인 일이 되는 것이죠. 이런 은하들을 볼 수 있게 되면 외부은하 자체와 함께 은하의 분포가 나타내는 거대구조가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우주론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루고 싶은 목표가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초기에는 한 방울이 떨어지는데 7년에서 9년이 걸렸다. 파넬 교수는 두 번째 방울까지 관측하고 사망했다.실험 도구는 한동안 방치됐다가 30년이 지난 1961년, 같은 대학의 존 메인스톤 교수에 의해 발견된다. 메인스톤 교수는 실험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6번째 방울을 기준으로 피치의 점도는 물의 약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6월 10일에는 이중 금환일식이 일어나지요. 아쉽게도 이번 금환일식은 우리나라에선 관측할 수 없어요. 북미 일부 지역과 북극 지방에서만 볼 수 있지요. 우리나라에서는 2030년 부분일식을, 2035년 개기일식을 볼 수 있답니다.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중 달이 태양을 완전하게 가리지 못해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