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더 공부하고 싶은 분야가 생길 거고, 그때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돼요. Q 수학자는 공식을 만드는 일까지만 하나요? 그 이상까지 나아가나요?_신준용 멘토순수수학자냐 응용수학자냐에 따라 다른데요,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지고 있어요. 최근에는 공식, 즉 새로운 알고리듬이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유동과 압력이 요동치며 정상적인 연소가 이뤄지지 않는 현상으로, 기존의 유체역학 공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75t 액체엔진은 1초에 250L의 연료를 태우는데, 이처럼 다량의 추진제를 고온, 고압 상태에서 짧은 시간 태우면 교란이 발생한다. 그 결과 연소실 내부의 압력과 진동이 급격히 높아지고,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인증서만 써왔는데, 앞으로는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비대면으로 발급한 인증서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라고 설명했답니다. 사물도 인증받는 시대가 온다! 사물인터넷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자동차와 스마트 기기들도 인증을 해야 해요. 스마트기기들이 네트워크에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인도 북동쪽, 네팔과 중국 국경에 솟아 있는 에베레스트산이에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공식 높이는 해발 8848m이지요. 이 높이는 인도의 탐사팀이 1952년부터 3년에 걸쳐 삼각측량법으로 측정한 결과예요. 거리를 알고 있는 두 지점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을 삼각형으로 연결하면 위치를 알 수 있지요 ... ...
- [수학뉴스] 무증상 청소년 코로나19 감염자 수 수학 공식으로 예측한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인구 1000명당 주간 확진자 수에 1.07을 곱한 뒤 0.23을 더해서 구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공식을 검증하기 위해 추가로 1만 5천 명의 무증상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코로나 검사를 진행한 결과, 실제 확진자의 비율이 예측한 값과 비슷했습니다. ... ...
- [미국유학일기] 식사부터 파티까지 똑똑한 기숙사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한다. 한 예로 내가 스위트에 살았을 때는 학기당 한 번씩 파티가 열렸는데, 기숙사에서 공식적으로 주최한 파티라서 초대한 손님한테 비용을 받지 않았다. 스위트에 사는 6명이 각각 30달러(약 3만4000원)씩 모아 파티를 열고 신나게 놀았다. 여담인데, 한번은 파티 소리가 새어 나갔는지 기숙사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풀이를 제시하는 친구들이 있는데 그게 너무 신기해요. 문제를 내면서 제가 몰랐던 공식들을 알아가고, 수학 지식을 공유하며 더욱 수학을 좋아하게 됐어요. 수학으로 대화할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합니다! Q 폴리매스에 참여하길 주저하는 친구들에게 조언해 주세요.틀려도 괜찮아요! 폴리매스는 ...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필요한 공식을 추출해 낸다. 예를 들어 x2+3x−10=0이라는 이차방정식을 인식했다면 ‘근의 공식’에 숫자를 대입해다음과 같이 답을 구한다.포토매스 앱은 이차방정식의 풀이법을 다양하게 제안했다. 근의 공식, 인수분해, PQ 식(두 근의 합과 곱을 이용해 풀이하는 식), 완전제곱 등 AI가 제안한 풀이법 ...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평가를 받으면 2단계로 넘어가 연구 개발 계획을 만들지요. 마지막 3단계는 나사의 공식 프로그램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1년에 하나만 선정해요. NIAC의 총괄책임자인 제이슨 덜레스는 “NIAC에서 시작되어 실제로 실현 궤도에 오른 연구가 많다”며, “NIAC는 나사의 가장 중요한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있어 Z형 DNA(Z-DNA)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데닌-티민’ ‘구아닌-사이토신’ 결합 공식을 따르지 않는 염기쌍 구조도 있다. 1959년 카르스트 후그스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는 DNA 염기인 아데닌, 티민의 유도체로 실험을 하던 중 특이하게도 왓슨-크릭 염기쌍보다 결합각이 작은 염기쌍 형태를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