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백신에 대해 긴급사용을 허가해 접종이 시작됐다. 영국과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공식 승인되기도 한 상황이다. 미국 정보는 같은 달 18일 모더나의 백신에 대해서도 긴급사용 승인을 했다. 이외에도 중국 제약회사 시노팜과 캔시노 등에서 개발한 백신 후보물질과 러시아 가말레야 연구소에서 ... ...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측정이 있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만화영화 ‘토이스토리’도 수학적 공식을 통해 섬세하고 입체적인 영상으로 탄생할 수 있었으며, 인공지능도 수학적 모델과 최적화 이론을 바탕으로 발전해왔습니다. 가 어린이의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과 수학적 탐구력을 ... ...
- [핫이슈] 사라진 역사를 찾아라! 디아이투 다산정보수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정부에 되파는 일을 했지. 이런 ‘메모리 헌터’ 일은 공식적으로는 불법이지만, 비공식적으로는 정부에 도움을 주는 일이었어. 그러던 어느 날, 테러집단이 전 세계 역사를 모조리 훔칠 계획을 세운 걸 알게 됐어. 내가 이 사실을 국가정보원에 알린 덕분에 전 세계가 데이터를 잃는 일은 피했지만,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땠을까요? 이번에는 2020년 지사탐 8기 공식 활동 기간인 4월 1일부터 11월 8일까지의 탐사 활동을 분석해 봤습니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으로 만나지 못했던 대원들, 온라인으로 대신 소통했는데요. 올 한 해 대원들의 탐사 활동은 어땠을까요? 또 지사탐 대원들이 사랑한 생물은 ... ...
-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나비를 연구하고 있는 추헌철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나비가 지사탐 공식 탐사종이 되면서 함께하게 되었지요. 그동안 지사탐 특별 강연으로 대원들을 만난 적도 있고 어벤져스 연구원들과 교류하며 지사탐에 관심이 많았는데, 함께하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Q 첫 활동인데 수료한 팀이 많아요 ... ...
- [현장취재] 여기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따라 스페이스X는 지난 11월 16일 우주인 4명을 태운 로켓을 ISS를 향해 발사하며 첫 번째 공식 미션 ‘크루-1’을 시작했어요.ISS를 상업적으로 활용할 기회도 열려요. 맥도널드 고문은 “ISS 미국국립연구소를 개방했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화장품기업 에스티로더는 10월 ISS에서 광고를 촬영했고,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렉스 탐사선이 새로운 임무를 진행했어요. 베누의 먼지와 자갈을 채취하는 작업으로, NASA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됐지요. 베누의 궤도에 머물던 탐사선은 추진기를 켜고 표면으로 진입한 뒤, 약 3m 상공에서 로봇 팔을 쭉 뻗어 베누 표면의 자갈과 먼지를 진공청소기처럼 흡입했어요. 이 ... ...
- [헥!헥! 물리학자] 이 사막에서 원자 폭탄을 실험했다고? 맨해튼 프로젝트 한강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핵분열’이라고 해요. 우라늄핵이 분열하면 총 질량이 줄어드는데, 아인슈타인의 공식에 따라 줄어든 질량에 빛의 속도를 두 번 곱한 만큼의 에너지를 내뿜어요.원자 폭탄은 핵분열을 이용했어요. 맨해튼 프로젝트의 계기가 됐던 실라르드와 페르미의 연구는 무거운 핵에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 ...
- [쇼킹 사이언스]마블 캐릭터 닮은 곤충이 있다?! 호주 신종 파리 5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좁은 복부에 수많은 작은 강모를 가지면 댑톨레스테스로 구별할 수 있답니다.생물에 공식적인 학명을 부여하는 것은 종 연구에 대한 시작을 의미해요. CSIRO의 브라이언 레서드 곤충 박사는 “호주에 사는 곤충 중 25%만이 과학적으로 알려져 있고, 종 이름이 붙었다”며 “종에 이름을 짓고, 그들을 ... ...
- [한장의 과학] 차별이 담긴 천체 별칭 없앤다! NGC 2392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샴쌍둥이 은하’로 알려진 ‘NGC 4567’, ‘NGC 4568’이에요. NASA는 앞으로 이 천체들은 공식 명칭만 사용하기로 했지요.NGC 2392 성운은 털모자를 쓰고 있는 사람 얼굴을 닮아 에스키모 성운이라는 별칭이 붙었는데, NASA는 “에스키모라는 단어는 인종차별적인 역사를 지닌 식민지 용어”라고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