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08
때문에, 인간 두뇌의 작용원리가 먼저 밝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답은 먼
훗날
판가름이 나겠지만 현재 두뇌 신경계의 병렬처리 원리에 입각한 뉴런 컴퓨터의 개발에 대한 열기가 지속되고 있는 한, 앞으로 점점 인간의 두뇌와 비슷한 컴퓨터들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그 때에 가서 ... ...
대자연과 인체의 합창같은 매력에 끌려
과학동아
l
198808
인류복지건강에 미력(薇力)을 보태기 위해 불평없이 연구를 계속할 작정이다.먼
훗날
이러한 노력들이 헛되지 않고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어 줄 것을 기대하면서 말이다. 기왕 학문의 길에 들어섰으니 언제나 존경받고 창의적이며 성실한 학자가 되고 싶은 것은 비단 나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07
아주 작은 원자핵 내부의 소립자에 이르기까지, 먼 고대의 시간으로부터 먼
훗날
의 미래에 이르기까지, 전 인류의 희망 절망 기쁨 증오 더 나아가서 인간 이외의 동물적 존재에서 인간 이상의 신적 존재에 이르는 우리의 온갖 주변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인간은 언제부터인가 에너지의 흐름을 ... ...
윤초(閏秒)
과학동아
l
198806
전 세계의 라디오와 텔리비전방송 등을 위해서 꼭 필요한 조치이다.궁극적으로 먼
훗날
에는 매일마다 1초의 윤초를 더해주어야 할 것이고, 그때마다 하루가 1초 더 길어졌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때 우리는 하루의 초수가 같아지도록 하기 위해 현재보다 약간 긴 초를 정할 수 있게 된다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
과학동아
l
198805
dusky seaside sparrow)가 죽었을때 그 정자와 골수를 냉동보관해 두었던 것. 이 계획에는 먼
훗날
이 단세포로부터 새를 원래대로 다시 복제하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담고 있다. 세포의 냉동보존은 인간의 질병치료에까지 활용된다. 최근 알버타대학의 연구팀은 냉동보존을 이용한 당뇨병치료에 개가를 ... ...
자동차 설계의 신화적 존재 페르디난프 포르쉐
과학동아
l
198803
영화 제작자였던 '콜로브라트'(Kolowrat) 백작의 초청을 받아 구경을 간 것이 그의
훗날
의 자동차개발 방향을 결정짓게 된다.그는 '콜로브라트'백작의 전폭적인 협력을 얻어 소형의 경주용 자동차를 개발했는데, 이렇게 해서 탄생한 차가 SOHC, 4기통, 1100cc 엔진을 장비한 '자샤'(Sascha)였다. 이 자샤란, ... ...
서울대 전체 공동수석 정성태군 "무엇보다 시간관리를 철저히 했죠"
과학동아
l
198802
고교 3년동안 20분거리의 해운대해수욕장도 한번 안가본 융통성없는 생활이었지만
훗날
즐거운 추억이 되겠죠. 물리학이란 게 학부에서 쉽게 끝낼 성질의 학문이 아닌것 같아 앞으론 더 꽉짜인 시간표 속의 생활이 될 것 같은 예감이지만 그래도 아직은 즐거운 마음뿐입니다.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02
잘 본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멀리 미래를 내다볼 줄 안다. 지금 누릴 수는 없지만 먼
훗날
의 삶은 노인들을 매혹시킨다. 많은 사람들은 젊었을 때 자기나 자기동료가 이 세상에 가했던 잘못을 늙어서 보상해 주고자 하기도 한다. 무기제조업자 뵐코프씨는 자기 재산의 이자를 가지고 여생을 평화롭게 ... ...
PART 4 문명의 모태
과학동아
l
198706
2천 4백km쯤 동쪽으로 떨어진 곳에 기원전 2천5백년경 제3의 하천문화가 있었다.
훗날
고고학자가 발굴한 도시의 이름을 따서 하랍파문명이라고 부르는 인더스문명은 지역적으로도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문명보다 훨씬 넓고 기술도 진보해 있었다. 특히 파키스탄의 카라치 북방 3백20km에 있는 ... ...
미국 수소폭탄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
과학동아
l
198704
그는 약관 22세로 독일의 라이프치히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학위논문은
훗날
나치 독일의 원자탄 연구를 지휘했던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1932년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의 지도를 받았다. 이 논문은 수소탄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텔러의 그뒤 연구에 발판이 되었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