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09
솔잎란이 먼저 눈에 띄었다고 한다. 이 솔잎란은 지금 서울대에 표본으로 남아 있는데,
훗날
이 제자가 그 표본에 '구사일생'이라 적어놓고 갔더라고.아열대림을 이루고 있는 한림원에서는 선바위고사리 세잎고사리 쇠고비고사리 도깨비고비고사리 곰비늘고사리 넉줄고사리 갯마치수염 세뿔석위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 펑크'
과학동아
l
199406
분쇄하는 작업에 나섰다. 예컨대 샌프란시스코반도의 살구나무가 무성한 계곡,
훗날
실리콘밸리라고 명명된 한적한 농촌에 모여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개발에 착수한 것이다.70년대의 해커들이 도시의 사무실을 거부하고 실리콘밸리의 다락방이나 차고를 활동무대로 선택한 것은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04
'에코포이시스 (ecopoiesis)'라는 말이 있다. 만약 화성의 에코포이시스화가 가능하다면 먼
훗날
인류가 화성에 이주하는 것도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다.러브록은 가이아 이론에 기초하여 1984년에 '화성의 녹색화(The Greening of Mars)'라는 소설을 발표한 바 있는데, 그 소설에서 화성 식민화의 전략을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03
아이들에게 '개발'이란 이름 하에 파괴를 용인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일러준다면
훗날
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이창호―이번 탐사만으로는 서해안 일대의 환경변화가 생태계에 어떤 영행을 미치고 있다는 식의 분석은 곤란한 듯합니다. 다만 과거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살아가던 새들이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설득하는 일에 기진맥진했던 그들로서는 돈의 굴레로부터 해방되는 일이 급선무였다.
훗날
의 자유스러운 연구활동을 담보해줄 자금을 마련한답시고 기업경영에 뛰어든 그들은 처지가 남의 일 같지 않아보인다.혼돈을 이용한 제품개발 역시 활발하다. 혼돈이 공학적으로 유용한 까닭은 혼돈이 비록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얻는 일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반물질의 에너지화는 먼
훗날
의 이야기이고 당장 물리학자들의 관심은 '물질과 반물질이 과연 어느 정도의 대칭성을 갖고 있는가'에 몰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일본 경제기획청의 2020년 미래기초연구과제에는 '물질과 반물질의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11
M에 번호를 붙여서 부르는 것이다. 메시에는 1700년대 후반에 13개의 혜성을 발견했는데,
훗날
그때 혜성과 비슷해서 잘 분간할 수 없는 1백9개의 천체(성운 성단)을 모아서 1884년에 목록으로 출판했다. 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과 성단은 지름 5㎝의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 ...
플라시보효과, 환자 3명중 2명꼴
과학동아
l
199310
천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적 처방을 내리고 그 결과를 관찰했다. 비록 그 처방이
훗날
보다 엄격한 검사를 통해 의학적 효능이 없다는 것이 밝혀진 경우에도 환자 중 3분의 2는 일시적이나마 병세가 호전됐다.의학 연구자들 사이에 통용되는 오랜 법칙은 플라시보를 주었을 때 대략 3분의 1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10
고정되고 기억의 흔적으로 아로새겨져 회상하기 쉽게 된다. 일단 시냅스가 강화되면
훗날
광범위하게 입사되는 신호에 의해 다시 쉽게 흥분되므로 기억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자꾸 사용하는 시냅스나 어렸을 때 반복자극받은 시냅스는 활성화되나, 쓰지 않는 회로나 시냅스는 가지도 없어지고 점차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09
있다. 자는 동안 뇌는 시토킨을 분비하여 다양한 신경계에 특수한 발화작용을 함으로써
훗날
사용될 때를 대비해 그들 간의 연관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뇌의 일정 부분은 수면을 취하는 반면 다른 부분은 깨어있게 된다. 그러한 깨어있는 신경계의 수가 많으면 그 결과 과학자들이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