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별"(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001
- 잎사귀와 너무나 잘 어울리는 제비나비 애벌레예요. 연두 빛의 몸 색깔이 풀잎과 비슷해 구별하기가 쉽지 않답니다. 눈동자처럼 보이는 무늬는 천적을 위협하는 훌륭한 방어 수단이랍니다. 자연의 사랑이야기사람들뿐만 아니라 생물들도 가족이나 무리를 이루며 서로 관계를 맺고 살아갑니다. ... ...
-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어린이과학동아 l200914
-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흥미진진했어.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미래에는 정말 현실과 구별하기 힘든 가상현실도 생길 거야. 가상현실이 가져다 줄 신기하고 편리한 미래를 위해 열심히 연구하는 영상미디어센터에 우리함께 응원의 박수를 보내자~. 파이팅!명예기자 : 김승현(경기 김포 김포서초 5), ...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과학동아 l200912
- 생식기를 잘라내고 암놈으로 속여서 팔곤 한다. 일반 사람들이 홍어의 암수를 쉽게 구별하지 못한다는 점을 악용한 상술이다. 번식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수놈의 생식기가 사람들 앞에서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천덕꾸러기로 전락해 버린 셈이다. ‘만만한 것이 홍어좆’이라는 말도 여기에서 ... ...
- 새로운 친구 구별법, 얼굴' DNA'수학동아 l200912
- 따라 얼굴색이 바뀌거나 나이가 들어 얼굴이 주름지는 등 얼굴 정보가 달라지면 사람을 구별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보완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열중하고 있습니다 ...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수학동아 l200911
- 암호화하면 ‘32114423’라는 걸 쉽게 알 수 있지. 암호를 만들 때 ‘I’와 ‘J’는 구별하지 않고 ‘24’로 암호화하면 돼. 암호표에 알파벳을 차례대로 적지 않고 무작위로 적으면 더 어려운 암호가 만들어져.이동암호를 여러 번 쓰면?비즈네르 암호는 프랑스의 암호학자 블레즈 드 비즈네르가 제안한 ...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과학동아 l200911
- 뒷지느러미 뒤쪽으로 토막지느러미가 5개씩 늘어서 있다는 점도 다른 물고기와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이다. 밥반찬으로 나온 생선이 고등어인지 삼치인지 헷갈린다면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해서 살펴보면 된다. 삼치는 고등어에 비해 눈이 작고, 몸 옆면의 무늬가 흐리며, 길고 납작한 몸에 살이 ... ...
- 사람 알아보는 흉내지빠귀어린이과학동아 l200911
- 많이 사는 흉내지빠귀로,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연구팀은 흉내지빠귀가 사람을 일일이 구별한다는 걸 실험을 통해 알아 냈어요.10명의 실험자는 매일 다른 옷을 입고, 다른 방향에서 흉내지빠귀의 둥지에 다가가 둥지를 만지고 다른 곳으로 가는 행동을 했어요. 흉내지빠귀는 3일째 되는 날부터 ...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수학동아 l200911
- 곧바로 이어진다. 교과서에서는 선대칭 도형과 선대칭 위치에 있는 도형을 엄격히 구별한다. 대칭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 관계에 있는 두 도형을 그리는 것은 언제든 가능하다. 하지만 대칭축이 도형 내부에 있는 도형은 그 모양에서 완벽함과 아름다움을 느낀다. 이런 도형은 드물어 특별히 ... ...
-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수학동아 l200911
- 가장 많이 쓰이는 알파벳이 바로 E거든. 그리고 사람이 들고 있는 깃발은 단어를 구별해 주는 기호라고 생각했지. 따라서 첫 번째 암호는 ‘?? ?E?E ??E ????E?’가 돼. 아직은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지. 그래서 홈즈는 이어지는 암호를 기다렸어.그런데 이제부터는 통계를 이용해 알파벳을 추측할 수 없어. ...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과학동아 l200911
- 세밀하게 나눠 전파신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천체에서 오는 자연적인 전파신호와 구별되는 ‘인공적인’ 전파신호를 찾는 작업을 주로 했다.하지만 세티 코리아 프로젝트는 100만 분의 1초부터 0.1초 사이의 지속시간을 유지하는, 아주 짧은 전파신호를 찾는 방식을 택했다. 현재 주기가 가장 짧은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