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션 ➋ 태양전지로 에너지를 얻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330kg 정도로, 웬만한 소형 탐사선 하나의 무게와 비슷하다”며, “더 가벼운 태양전지가 개발되면 탐사선에 더 많은 장비를 실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확대 주노의 도전은 인간이 드넓은 우주를 더 많이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해 줄 거야! 앞으로 주노의 활약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것처럼 보존할 수 있는 특수기술이에요. 독일의 의사 군터 폰 하겐스 박사가 1977년에 개발했지요. 생물의 장기와 조직에 있는 물과 지방을 모두 제거하고, 대신 실리콘이나 에폭시 수지와 같은 화학 성분을 채워 넣는 기술이랍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생물 표본을 살아 있을 때 모습 그대로 썩지 ... ...
- [과학뉴스] 초소형 가오리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위스생물공학연구소 박성진 박사팀은 몸무게 10g, 몸통 너비 16mm의 초소형 가오리 로봇을 개발하고 이 로봇이 물속을 헤엄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답니다.가오리 로봇의 뼈는 금으로, 근육은 쥐의 심장근육세포로, 피부는 고무로 만들어졌어요. 이 중 가오리 로봇을 움직이는 건 쥐의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데 문어 로봇을 쓸 수 있다”며, “앞으로 물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두족류의 시대가 다가온다는 우리 아빠 말이 맞지? 후훗! 앞으로도 다양한 곳에서 놀라운 능력을 뽐낼 두족류의 활약을 기대해 줘 ... ...
- [과학뉴스] 돌돌~ 말리는 태양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이용해 머리카락보다 얇은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태양전지의 두께는 1μm로, 머리카락의 100분의 1에 해당한답니다. 연구팀은 얇은 두께의 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 도장처럼 찍어 프린팅하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했어요. 소자를 만든 뒤 깎아내는 기존 방법에 ... ...
- [과학뉴스] 어디에도 척! 달라붙는 전극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최근 광주과학기술원 고흥조 교수팀이 옷뿐만 아니라 돌멩이에도 붙일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어요. 이 전극 주변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얇은 털인 ‘인공 섬모’가 잔뜩 붙어 있지요. 이 인공 섬모에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어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인공 섬모가 울퉁불퉁한 표면을 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먼 곳으로 여행을 갈 수 있을까요? 지금 우리가 먼 곳으로 쉽게 갈 수 있는 건 자동차가 개발됐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자동차엔 어떤 과학이 숨어 있을까요?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알아봐요! 자동차가 궁금한 친구들, 모두 모여라~!자동차의 과학원리를 알기 위해 찾아간 곳은 ... ...
- 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살균제가 폐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PHMG, 세퓨 제품에 있는 *PGH, 애경 가습기메이트 등에 쓰인 *CMIT와 *MIT지요.PHMG는 1950년대에 개발됐고, 세균의 세포막을 망가뜨려서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해요. 물에 잘 녹고 살균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사람이 없는 공장이나 빈 축사를 소독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됐어요. PHMG는 손이나 ...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활용해 공간은 적게 차지하면서 원래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새로운 현가장치를 개발했다. 앞바퀴 쪽 엔진부나 뒷바퀴 쪽의 트렁크와 뒷좌석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다. 현가장치란 자동차의 양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 운전할 때 안정성을 높여준다. 길바닥에서 오는 충격을 흡수하고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게임에서는 중력만 있다고 가정해요.이런 중력의 원리를 게임에서 쉽게 구현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중력을 커지게 만들어요. 점점 커지는 중력값을 이용해서 새의 낙하 속도를 점점 더 빠르게 만드는 거지요. 이때 게임 플레이어가 화면을 터치하면 중력값을 초기화해요. 그래야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