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유공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약 100명의 연구원이 우유와 분유, 유제품 등의 품질 검사와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일을 하고 있답니다.우유에 대한 비밀 하나! 우유에는 칼슘과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무려 114종의 영양성분이 들어 있다고 해요. 이 성분들은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골다공증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병을 ... ...
- Intro. 전자 심판으로 오심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안녕? 난 브라질 리우올림픽의 마스코트 ‘*비니시우스’야. 올림픽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전세계인의 축제란다. 그런데 선수들 말고도 경기를 흥미롭게 만드는 또 하나가 있다는 거 알고 있니? 그건 바로 ‘전자 심판’이야. 인간이 알아차리기 힘든 ...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준비~, 탕! 스타팅 건과 스타팅 블록예전에는 화약이 ‘탕’ 하고 터지는 소리로 육상 경기의 출발을 알렸어요. 하지만 공기 중에서 소리의 속도는 초속 약 340m로, 선수가 총에서 34m만 떨어져 있어도 소리를 0.1초나 늦게 듣게 되기 때문에 공평하지 않았지요.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2010년 밴쿠버 ...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김민준 교수팀이 작은 자석을 이용해 길이를 마음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지름이 4.3*μm인 작은 구슬 모양의 자석들이 일자로 연결돼 있는 형태랍니다. 이 로봇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위 아래로 진동하며 마치 벌레처럼 앞으로 나아가지요.연구팀은 로봇을 이루는 자석 ...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인간 심판, 왜 오심을 하는 걸까?2008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심리학과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는 테니스 경기 4000건에서 오심 사례 83건을 찾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어요. 테니스 경기에서는 공이 선 밖으로 나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득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요. 오심은 이 ...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오뜨 박사팀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저장 장치보다 용량이 수천 배나 큰 저장 장치 기술을 개발해 발표했어요. 이는 우표 한 장 크기의 작은 칩에 지금까지 나온 모든 책을 다 담을 수 있는 거대한 용량이랍니다.연구팀은 작은 크기의 저장 장치를 만들기 위해 물건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입자인 ...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인간의 눈이 감지하지 못하는 0.2㎜차이까지 구별해 낼 정도로 정확하지요.한국스포츠개발원의 길세기 선임연구원은 “전자 심판으로 정확한 판정은 물론,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경기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 운동 경기에서 전자 심판의 역할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 ...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거대한 도시를 건설하거나, 심지어 게임 안에 컴퓨터를 만들어 나만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도 있답니다. 마인크래프트의 인기 덕분에 크게 성장한 모장은 2014년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인수됐지요.이번 코딩 교육에서는 마인크래프트 세계 안에서 캐릭터를 내 맘대로 움직이는 방법을 배웠어요. ...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발견될 거예요. 그래서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는 ‘상괭이 탈출 그물’을 개발하고 있답니다. 일반 그물의 아래쪽에 구멍을 뚫어 상괭이가 그물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만든 거예요 ...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제대로 나오지 않아 걸리는 병이에요. 따라서 중뇌 오가노이드는 파킨슨병 치료약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거예요. 치료약을 사람에게 주사하는 대신 인공 중뇌에 주사해 더 빠르고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으니까요.일리 : 네 역할이 정말 기대돼!인공 뇌 : 다른 장기의 경우 조직을 조금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