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뉴스
"
부분
"(으)로 총 6,2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빛1호기, 운영자 반복된 오판·안전절차 무시가 가져온 사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I) 등의 방사능을 확인한 결과 핵연료 손상의 문제는 없었다. 연료봉에서 가장 뜨거운
부분
인 핵연료중심선의 온도와 피복재변형률도 안전값 이내임을 확인했다. 제어봉의 위치 편차는 걸쇠 오작동 혹은 불순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됐다. 원안위는 “건전성 추가 조사를 위해 원자로헤드를 열고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들이 사용할 외골격로봇으로 경쟁하지만 실제로는 하반신
부분
마비 장애인들이 훨씬 많다는 현실을 감안한 노력이다. 공 교수는 “많은 사람들에게 기술의 혜택을 주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 이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엔젤슈트’를 개발했다”며 “현재 상용화 ... ...
목소리만 듣고 제스처 따라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제스처 AI로 미국 TV 토크쇼 진행자인 코난 오브라이언의 제스처를 예측한 결과. 상당
부분
코난이 취하는 포즈와 움직임을 AI가 흉내 냈다. UC 버클리 제공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전원을 공급하는 ‘레독스 흐름 배터리’다. 로봇 내부에 흰색 혈관처럼 보이는
부분
은 전해액이 이동하는 통로다. 펜실베이니아대 제공 20세기 초 체코의 작가 카렐 차페크는 자신의 희곡 ‘로섬의 유니버설 로봇’에서 인간 노동을 대신하는 존재로 로봇이라는 말을 처음 썼다. 그 뒤 100년간 ... ...
월성원전 4호기 정상 가동 허용… 한빛 1호기 정지 이후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진행됐다. 지난해 7월 월성 3호기 가압기 증기배출밸브에서 서로 다른 금속이 용접된
부분
에 결함이 발생했던 사건의 후속조치다. 이외에도 재순환집수조 여과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보호계전기와 예비디젤발전기의 설비를 개선했다. 후쿠시마 후속대책과 타원전 사고 및 고장 사례를 반영한 ... ...
산림황폐 없고 온난화까지 해결···'강한' 3세대 바이오매스에너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곧 정부 지원이 끝난다”며 “당장 눈에 띄지 않는 중요한 특허, 기술 및 노하우가 상당
부분
유실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 “특허 중 어떤 게 효자 노릇을 할지 모르는데, 미래에 몇 조의 가치를 가질지도 모르는 기술들이 매몰자산이 되는 것”이라며 “연구단 사업이 진행되며 구축된 인적 ... ...
신약 후보물질 발굴, AI로 더 빠르게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이용해 추출한 아미노산 서열 패턴 역시 실제로 약물과 표적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는
부분
임을 확인했다. 단백질 FKBP12과 MAPKAPK2을 대사응로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특정 지역(붉은색)에서 화합물이 더 잘 결합함을 알 수 있었다. 사진제공 GIST 남 교수는 김용철 GIST 생명과학부 교수 ... ...
노후시설 관리에 IoT·드론·로봇 투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30년 넘은 노후관로는 개선,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누수나 부식 우려가 되는
부분
을 조치하고 개선 및 보강 공사를 올해 말~내년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T는 2020년까지 통신구에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케이블을 불에 타지 않는 재질로 바꾸는 등의 안전강화를 추진한다.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어쩌면 북한에서 당뇨병을 대응하는 방법은 선진국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
이기도 하다. 대
부분
서방 국가에서는 당뇨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집중하고 있지만, 북한이나 쿠바처럼 사회주의 국가는 이보다는 예방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입원환자 병상이 150개나 될 정도로 규모가 큰 ... ...
"얼룩말 줄무늬는 체온조절용"…서식지서 첫 실증 연구
연합뉴스
l
2019.06.16
땀의 증발이 촉진되는 것으로 콥 부부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얼룩말이 흰색
부분
은 그대로 둔 채 검은색 털을 세우는 독특한 능력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는 것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콥 부부는 한낮에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 사이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 검은 털을 세우면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