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뉴스
"
부분
"(으)로 총 6,2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잡아당기면 깨지기 직전 하얗게 변하는 현상도 크레이징이라고 부른다(오른쪽). 이
부분
을 현미경으로 보면 플라스틱에 미세한 금이 가 있다. 위키피디아/강석기 제공 플라스틱은 고분자 가닥이 서로 엉켜 있는 상태다. 서로 화학결합으로 묶여 있지 않아도 단단한 고체를 유지하는 건 긴 고분자 ... ...
AI가 기계 고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선경호 한국기계연구원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AI가 운전 중인 기계설비 영상을 기반으로 기계의 고장여부를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 ... 수 없다. 머신 비전으로 두 영상을 비교하면 아래 그림처럼 진동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
의 색이 바뀌어 표시된다. 기계연 제공 ... ...
최고과학기술人 장석복 교수"랭킹 집착 말고 남이 안하는 새 영역 개척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미국의 경우는 5~10% 연구자가 자기만의 영역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런
부분
은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장 교수 역시 과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그는 기초과학 분야인 ‘탄소-수소 결합 활성화 촉매반응 개발’ 분야에서 선도적인 ... ...
누르면 위치와 압력 정확히 인식하는 3D 터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구조를 만들고, 투명한 나노와이어 전도체와 포개 만들었다.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부분
의 위치와 압력 세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3차원 위치와 압력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는 투명하고 유연한 차세대 3D 터치기술을 개발했다.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과 ... ...
"오무아무아는 인공물 아닌 우주의 자연적 산물"
연합뉴스
l
2019.07.02
온 성간 천체로는 처음으로 관측돼 이상한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고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
이 있는 것은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설명이 가능한 자연 현상을 배제할 수 없으며, 앞으로 관측 기술의 발달로 다른 성간 천체가 추가로 발견되면 진짜로 이상한 천체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
사람 닮은 로봇을 보면 공포심 생기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달달한 밀크쉐이크를 먹을 때처럼 감각적인 자극을 느낄 때 등 여러 자극에 대해 이
부분
이 반응한다. 하나는 사람의 얼굴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은 실험 참가자가 바라본 사물이 사람과 닮을수록 활성화 정도가 강했다. 다른 하나는 뇌가 호감도를 느끼는 영역이다. 산업용 ... ...
주52시간 첫날 맞은 출연연…“17곳은 이미 시행, 8곳도 곧 실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화~목요일 3일만 코어시간을 두고 행정직은 주 5일 코어시간을 두는
부분
선택 근로시간제에 합의했다”며 “빠른 시행을 원하는 원내 목소리가 높아 시스템 개통 전이지만 7월 중순부터 사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성우 연구회 부장은 “아직 시행에 들어가지 못한 기관은 우선 지난주에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뉴로모픽 소자나 양자컴퓨터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핀트로닉스는 이미
부분
적으로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개발했거나 개발 중인 스핀주입자화반전메모리(STT-MRAM)가 대표적이다. 스핀 방향이 비슷한 영역(도메인)을 만들고 전류로 이를 제어해 정보를 저장한다. ... ...
호기심의 눈으로 지켜본 화산섬 제주…28~30일 '탐험대학 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01
개선점을 찾아 다음에 더 나은 실험을 하기 위해서 하는 실험이에요. 이번에 아쉬웠던
부분
을 개선해 육지에 사는 개구리의 포식률에 대해 후속 연구를 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탐함대학 학생들이 설치한 무당개구리 모형을 수거하기 위해 수풀 속을 수색하고 있다. 장 교수의 총평을 듣고 ... ...
日,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핵심 물질 한국 수출 허가 면제 종료”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포토 레지스트가 남는다. 이후 식각(에칭) 공정을 통해 포토레지트스가 없는 나머지
부분
의 실리콘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골무’였던 포토 레지스트를 제거하면 원하는 패턴만 남길 수 있다. 동진쎄미켐 등 한국에도 제작할 수 있는 기업이 있다. 에칭가스(플루오린화수소)는 식각 공정에서 패턴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