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과학 전문 잡지인 ‘사이언스’ 7월 3일자에 실렸습니다. 해마의 꼬리가 원통형이 아니라는 사실이 놀라운데요. 실험에 참여한 해마를 만나보겠습니다.이번 연구에 대상자로 뽑히기 위해, 특별히 따로 준비한 개인기가 있습니까?과학자들이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관한 증명은 무려 400가지에 달하며,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증명법을 찾고 있다. 367가지의 증명법을 한 권에 담은 미국의 수학자 엘리샤 루미스의 저서도 있다.이번에는 브릭으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증명하는 방법을 살펴 보자. 1×n 플레이트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먼저, 1×4 플레이트 2개와 1×6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더 멀어진 채 수학에만 몰두했다. 엄마는 아무리 노력해도 새우튀김을 소수인 7개에 맞춰 사오지 못하면 똑똑하지 않다는 핀잔을 들어야 했다.엄마는 네이든이 수학에 집중하는 것을 보고 더 높은 수준의 수학 수업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다. 그의 재능을 알아본 상급학교 선생님은 험프리스 ... ...
- [참여] 열쇠로 상자 열고, 수학으로 퍼즐 풀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공간을 지나면 ‘수학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방으로 갈 수 있다. 여기서는 지난 7월호에 소개한 수학예술가 조지하트의 작품 ‘스팀’, 앤드류 크롬프턴의 쪽매맞춤 작품도 만날 수 있다. 박경현 독자기자는 “여러 가지 색깔의 고래 모양 그림을 자석으로 붙여 쪽매맞춤을 만드는 게 신기하고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별 볼까? 오늘(8월 20일)이 견우와 직녀가 1년 중 단 한 번 만난다는 칠월칠석(음력 7월 7일)이잖아~!” 소녀가 음흉하게 웃으며 눈을 흘기네요. “내가 또 속을 줄 알아? 어디 산골 가서 또 차 끊겼다고 하려고?” 소년이 갑자기 두 팔로 몸을 감싸며 질겁하네요. “누님, 저한테 이러지 마세요. 이렇게 ...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귀신의 등장이 왓슨이 냈던 ‘쾅!’ 소리인셈이다.실제로 그런지 확인해 보고자 지난 7월 7일 김성필 UNIST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의 연구실에서 직접 뇌파 실험을 해봤다. 피실험자에게 공포영화 속에서 실제로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과 전조가 되는 장면(주인공이 한 곳을 응시)을 번갈아 보여주며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생중계했다. 현장에 모인 연구원들은 다 함께 카운트다운을 셌다. 그리고 오전 7시 49분 57초(현지 시각), 드디어 뉴호라이즌 호가 명왕성을 빠르게 지나쳤다. 명왕성 최근접점을 통과한 뉴호라이즌 호는 명왕성의 그림자가 생기는 공간과 명왕성의 최대 위성인 카론의 그림자가 생기는 공간을 차례로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구장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다. 메이저리그에서와 같이 야구공의 움직임을 추적해 최대 27가지의 데이터를 만들 수 있지만, 아직은 22개의 데이터만 제공하고 있다.트랙맨을 실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보자. SK 와이번스의 마무리 투수 정우람(오른쪽 사진)이 좋은 성적을 거두는 이유는 그동안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아보가드로 숫자 는 6.02214129 × 1023개(잠정)다. 그동안 사용해온 숫자와 비교하면 소수점 7, 8번째 자리가 정확해졌다. 그만큼 세계 곳곳의 실험실에서 나온 몰 단위의 신뢰도가 높아진 것이다. 더구나 2018년이 되면 화학 시간에 아보가드로의 수나 1몰을 얘기하면서 탄소 12g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게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1000만 개 이상의 동영상 가운데 고양이를 골라냈다. 정확도는 70%에 달했다. 미국 스탠포드대 앤드류 응 교수와 구글이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였다.데이터가 쏟아져 나오던 시기, 하드웨어 역시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딥러닝을 더욱 빠르게 부상시켰다. 방대한 데이터를 ... ...
이전3223233243253263273283293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