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한국 2015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종합 3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3문제씩 나옵니다. 문제의 난이도는 일반적으로 각각 상, 중, 하이며, 만점은 문제당 7점입니다. 시험이 모두 끝나면 자체적으로 가채점을 하고 개최국에서 꾸린 코디네이터와 채점 방법, 점수에 대해 의논합니다.이번 문제는 역대 최고로 어려웠다고 합니다. 시험이 끝나자 각국 단장이 금, 은,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드는 비결이라고 설명한다. 이밖에도 스터드의 지름은 4.8mm, 스터드의 높이는 1.7mm, 1×$m$ 브릭에서 긴 변의 길이는 (P×$m$)-0.2mm, 스터드와 스터드 사이 공간은 3.2mm로 약속했다.브릭 다양하게 결합하기브릭과 플레이트를 적절하게 결합해서 사용할 줄 알아야 자신이 원하는 작품을 마음대로 만들 수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규칙이다. 수열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고, 이를 ‘티티우스의 수열’이라 한다. 4 7 10 16 28 52 100 196 388 772…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10으로 놓고 태양에서 각 행성에 이르는 거리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면 그 값은 왼쪽 아래의 표와 같이 티티우스의 수열과 거의 일치한다. 예를 들어, 수열의 6번째 ...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게임 줄거리를 적어.”“일단 공책에 정리한 다음에 한꺼번에 판넬에 옮기자.”지난 7월 11일 새롭게 출발한 게임카페 1기 참가 독자들이 첫 수업을 위해 모였습니다. 메르스 사태 때문에 한 달이나 늦게 시작한 탓인지 평소보다 더 열의에 넘쳐 있었지요.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님도 강의도 ...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것은 이병규뿐만 아니라 모든 프로야구 선수들이 다 아는 사실이다. 올해 KBO 리그에서 7월 16일까지 총 715번의 0-3(0스트라이크 3볼) 상황이 있었는데, 그 중 95%에 가까운 676번이 볼넷으로 끝났다(상단 표 참조). 1-3 상황에서 볼넷 비율이 60% 정도인데 0-3와 차이가 꽤 크다. 이것은 타자들이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지나기 전 마지막으로 지구에 보내온, 명왕성을 가장 세밀하게 담은 사진이다. 7월 13일 촬영 당시 탐사선과 명왕성의 거리는 76만8000km. 뉴호라이즌 호의 고해상도 망원카메라 ‘로리’가 찍은 흑백 사진에 가시광선·적외선 분광계인 ‘랄프’가 수집한 데이터를 더해 색을 칠했다. NASA는 14일 ... ...
- 삼시세끼 맛있는 쌀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중국 과학자들이 쌀의 식감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중국 국립쌀연구소의 왕 위에싱 연구팀은 쌀의 맛을 텁텁하지 않게 하는 유전자 ‘GL7’을 타이펑A라 ... “어떤 계열의 쌀에 도입하든 GL7은 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는 ‘네이처 유전학’ 7월 6일자에 실렸다 ...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이었는지 가장 확실하게 밝힌 셈이다. 미라가 완성되기까지 총 7개월이 걸렸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가 서술한 것보다 2개월이 더 걸렸다. 연구소 환경이 이집트와 달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Q 어떻게 실제 다리로 미라를 만들겠다고 생각했나A 비슷한 시도는 이전에도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 파편들은 12~13세기, 고려가 가장 화려했던 시절의 청자라 많은 학자들이 아쉬워했71다. 이처럼 일부가 소실된 유물이 발견되면, 사라진 파편을 복원하는 건 연구사의 몫이다. 석고로 비어있는 부분을 만든 뒤 기존 유물과 유사한 색으로 칠하는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 정용화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크답니다.해마 없으면 새로운 기억도 없다!7살에 뇌전증에 걸린 헨리 구스타프 몰래슨은 27살이 된 1953년, 해마 제거 수술을 받아요. 의사가 몰래슨의 증상이 해마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거든요. 해마는 양쪽 관자놀이 안쪽에 있는 뇌의 부분이에요.수술 이후 몰래슨은 발작 증상에서 ... ...
이전3213223233243253263273283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