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하루에 10번도 더 들어갔어요. 수업 전에 교수님의 강의내용을 미리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수업을 들으면 영어가 더 잘 들려요.”다국적기업의 프로젝트를 맡거나 세계의 다른 대학과 함께 연구를 하려면 의사소통은 필수다. 전공공부와 영어공부를 따로 하는 수고 대신 전공을 영어로 공부하기 ... ...
학기초 공부계획 꼭 성공하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반복해 푸는 것을 추가해야겠다. 그리고 영어 독해가 생각보다 많이 익숙해져서
다음
주에는 다른 과목에 시간을 더 써야겠다’는 식으로 계속 자신에게 맞춰 수정·보완 하는 것이 좋습니다.다 아는 얘기라고요? 실천이 중요합니다. 공신멘토의 동영상 강의도 꼭 들어보세요 ... ...
감시탑을 가려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Q
다음
규칙에 따라서 보기와 같이 장애물 블록을 설치하세요. 1) 네모칸으로 나뉜 지도 곳곳에 감시탑이 설치돼 있습니다. 2) 감시탑이 있는 곳은 숫자로 표시돼 있습니다. 숫자는 감시탑에서 볼 수 있는 칸의 개수를 뜻합니다. 3) 감시탑에서는 가로, 세로 방향만 볼 수 있고 다른 감시탑을 통과해 볼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10%, 10%라는 식으로 그냥 정하는 것이다.이렇게 웹을 단순한 구조로 그린 뒤, 각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 확률을 구해 마르코프 연쇄에 적용한다. 이런 마르코프 연쇄 위에서 랜덤 서퍼가 마구 이동을 하다가 갑자기 멈췄을 때, 이 랜덤 서퍼가 웹페이지에 있을 확률을 구한다. 이 확률이 가장 ... ...
선물포장을 빛내 주는 프뢰벨 스타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때문이다. 그러려면 엮을 때 기하학적인 원리를 따라야 한다.엮기를 위한 단위 조직에는
다음
과 같이 다섯 종류가 있다. 엮는 소재의 방향이 몇 개인가와, 엮었을 때 조직의 가운데 부분의 모양에 따라 이름을 짓는다. 예를 들어 두 번째와 같이 선분이 향하는 방향이 3곳이고, 가운데 삼각형 모양이 ... ...
Part 1. 2등 정자가 임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자궁 안에서 살아남지 못한다. 이중 50% 정도는 임신이 됐다는 사실도 느끼지 못한 채
다음
월경 때 사라져 버린다. 최근 임신호르몬 검사를 통해 정밀하게 검사해 보면 자궁내막에 착상한 배아 중 31%는 임신으로 진행되지 못한 채 유산되고 만다. 유산되는 배아는 대부분 염색체 결함을 지닌 것으로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열고 물을 소통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토해양부는 한강에 조류주의보가 발령된
다음
날인 8월 10일 결국 남한강 보의 수문을 열었다. 녹조는 겨울에도 생긴다. 오른쪽 사진은 지난 2월 아라뱃길(경인운하)에 생긴 녹조. 당시에도 유속이 느려져서 녹조가 생겼다고 보도됐다.]녹조류와 남조류 모두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맞먹는다.앞서 비행 중에 오로라를 보았다고 걱정했던 조종사에게 내가 말해준 답변은
다음
과 같다. 지구에서 오로라를 보았다는 것은 지자기 폭풍이나 태양폭발이 일어났을 수 있다는 뜻이다.오로라는 지구 밖에서 들어오는 태양풍 입자와 지구 대기의 공기 분자가 충돌해서 빛을 내는 현상이다. ... ...
나는 마카롱 사이언스 쉐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덕분이야~마카롱 반죽을 짤주머니에 넣어서 예쁜 원 모양으로 동글동글 짜 보자~! 그런
다음
오븐에 구우면 맛있는 마카롱이 나오겠지? 참, 여기서도 과학 원리 하나! 프릴이 잘 살도록 구워야 맛있는 마카롱을 만들 수 있어. 맛있는 마카롱 고르는 비법!과학원리를 알면 ‘프릴’만 보고도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거미는 스스로 기준점으로 정한 두 지점 사이의 가장 높은 곳을 줄로 연결한다. 그
다음
다리를 이용해 자신의 ‘걸음’으로 중점을 계산한다. 거미는 이렇게 기준점과 중점을 여러 곳에 만들고, 중점에서 땅으로 내려오면서 Y자 모양의 구조의 거미집 기본 틀을 만든다. 이 Y자 구조는 거미집의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