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바뀌는 정보(기억)를 저장하고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일도 중요해졌습니다. 또 자주 물을 마시러 물가로 나오는 일은 위험하기 때문에 이런 위험을 피할 방법도 중요해졌습니다.털이 있는 동물의 피부는 흽니다. 털이 가려주기 때문에 굳이 ... ...
- 바닷물에서 에너지 얻는 해파리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헤엄치기 시작한 지 5분도 안 지났는데 숨이 헐떡이고 팔다리가 저린 것 있죠. 다음엔 저절로 헤엄치는 기계라도 준비해야겠어요. 그런데 아무것도 먹지 않고도 오랫동안 헤엄칠 수 있는 해파리가 있대요. 바닷물에서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는데, 그 비결이 뭘까요? 해파리는 어떤 동물이지 ... ...
-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수학동아 l2012년 09호
- 64강부터 모두 12발을 쏘는 것으로 바뀌었다.누적 점수 제도에서는 한두 번 실수를 해도 다음번에 만회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물론 다른 나라 선수들에 비해 실수가 적은 우리나라 선수들이 우승하기에도 좋은 점수 제도였다.그런데 2010년 4월 이후 양궁 경기에 새로운 점수 체계인 세트제가 ...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번 앞면이 나온 다음 뒷면이 나오면 2원을 상금으로 받는다. 또 세 번 앞면이 나오고 그 다음에 뒷면이 나오면 상금은 8원이 된다. 하지만 만일 30번을 연이어서 앞면이 나오면 상금은 무려 약 11억 원이 된다. 이런 조건에서 이 경기에 참가하기 위해 얼마의 참가비를 내겠는가?이 문제에서 한 번 던질 ... ...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또 한 손으로는 8에서 5를 뺀 3개의 손가락을 접고, 2개의 손가락은 펼친 채로 둔다.그런 다음 양쪽 손의 접힌 손가락 수에 10을 곱하자. 그럼 (2+3)×10=50이 된다. 그 다음, 양쪽 손에 펼쳐진 두 손가락의 수를 곱하면 3×2=6이 된다. 이제 50과 6을 더하면 정답 7×8=(2+3)×10+3×2=56을 알 수 있다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예를 들어 진과 사 사이에는 천만 진, 백만 진, 십만 진, 만 진, 천진,백진, 십진이 나온 다음 진이 된다.그런데 작은 수를 이렇게나 많이 알 필요가 있었을까? 조선시대 최고의 산학자 경선징이 쓴 에는 ‘진 이하는 이름은 있지만 모두 쓸데가 없다’라고 쓰여 있다. 이것으로 보아 실제 ...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교차로의 신호주기는 30초로 같지만, 신호가 바뀌는 시기를 엇갈리게 만들어 자동차가 그 다음 교차로 앞에 섰을 때 녹색 신호등으로 바뀐다.이렇게 연동신호체계로 바꾸면 도로에서 차량이 원활하게 움직여 교통체증을 줄일 수 있다. 또 깜깜한 밤이나 새벽과 같이 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신호에 ...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뼈는 어떨까. 우산이 펴지듯 동시에 솟아나는 게 아니야. 넷째 발가락이 먼저 발생하고 다음으로 새끼, 가운데, 검지, 엄지 발가락이 차례로 생겨나. 이것은 오늘날 존재하는 거의 모든 사지 동물에 해당하는 특성이야. 그런데 언제부터,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진화 과정에서 발가락은 5개만 ...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윤초다.예전에는 하늘의 태양이 1초를 책임졌다. 태양이 뜨고 다음날 다시 뜰 때까지 시간이 24시간이고 1초는 이 안에 있었다. 태양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지구의 자전 속도가 1초를 책임졌다. 1967년 이후 1초의 책임자는 세슘 원자로 바뀌었다. 국제도량형총회는 1초를 ... ...
- [교과연계수업]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도로망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특정한 두 지점을 출발점과 도착점으로 선택했다. 그런 다음 차량을 1대에서부터 점차 늘려가면서 운전자가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폈다. 그 결과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가는 여러 가지 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 ...
이전3213223233243253263273283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