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캐리비안의 해적' 건강보고서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치료를 제때 하지 못해 실명으로 이어지거나 안구가 위축되며 눈의 기능을 잃었을
가능성
도 크다. 결국 그들은 흉측하게 변한 눈가를 가리기 위해 안대를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요즘은 눈동자에 외상이 생겨도 감쪽같이 봉합수술을 한다. 안구를 제거해야 할 경우에는 탁구공 크기의 인공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위한 진화의 산물결론적으로 어떤 사람이 귀신을 봤다는 ‘공포 실화’는 뇌의 장난일
가능성
이 높다. 그러나 귀신 착시가 그저 그릇된 오류인 것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귀신 얼굴을 보는 것은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 상대의 얼굴을 재빨리 인식하기 위한 진화의 부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여기상태의 분포가 볼쯔만분포가 되지는 않으므로 특정 준위 사이에서 음성온도가 될
가능성
이 있으며 기체레이저의 대부분은 이것을 이용하고 있다 기체가 화학반응에 관여 할 때 등온(等溫) · 등압(等壓) 아래서 반응기체 및 생성기체의 부 피 사이에 간단한 정수비(整數比)가 성립한다는 법칙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속도가 조절된다. 미토콘드리아의 신비한 대사속도 조절 메커니즘은 공학적으로 활용할
가능성
이 높다. 대표적인 예가 연료전지다. 미토콘드리아 모방한 생체 연료전지생체 에너지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는 일종의 생체 전지로 응용될 수 있다. 연료전지와 에너지 생성과정도 비슷하고, ... ...
거인증으로 들여다본 성장호르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키가 크고 2차 성징이 시작된 뒤에도 성장속도가 줄지 않는다면 뇌하수체에 종양이 있을
가능성
이 크다. 거인형은 키가 2m넘게 자라기도 한다. 성장판이 닫히면 점점 코와 턱이 비정상적으로 커져 말단 비대증 환자의 얼굴이 된다.처방 : 뇌하수체 검사를 받아 보는 편이 좋다. 뇌하수체에 종양이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흡입하러 수시로 떠올라야 하는 북한과 일본의 디젤 잠수함과 달리 적군에게 노출될
가능성
이 적다. 앞으로 연료전지의 쓰임새가 넓어지면 우리 생활도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유 교수가 만든 고성능 촉매가 연료전지 분야에 응용될 경우 변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유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0㎛ 이하의 모든 입자를 관측하는 장비로, 관측되는 입자의 농도가 높아지면 황사가 왔을
가능성
이 높아지지요. 황사를 관측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중국 황사 발원지에는 이러한 관측 장비가 세워져 있어요. 하지만 황사는 1~5일 안에 생겨 이동해 오는 짧은 현상이기 때문에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 ...
PART2 암 잡는 나노메디신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방해 작용을 피할 수 있다.자기조립을 이용한 나노메디신 기술은 앞으로 응용
가능성
이 무궁무진하다. 멀지 않은 미래에 각종 난치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나노 자기 조립체가 등장하길 기대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셀프사이언스 나노 나노세계선 뭐든 알아서 척척! PART1 퍼즐처럼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또 이 정도로 거대한 방전현상(스프라이트)은 높이 나는 비행기와 로켓에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
이 있다고 경고했다.스프라이트는 미국 페어뱅크스 알래스카대의 데이비스 센트만 박사가 셰익스피어의 희곡 ‘템페스트’(The Tempest)에 등장하는 공기의 요정 ‘아리엘’을 생각하며 붙인 이름이라고 ... ...
이 시대는 '친절한 외과의사'를 원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응급실로 실려온 환자가 “제발 수술해 주세요”라고 외쳤어도 저자는 수술을 미뤘을
가능성
이 크다. 그는 밤 12시와 새벽 6시 사이에는 의사가 실수를 할 확률이 크기 때문에 가급적 그 시간에는 수술을 하지 말라고 조언한다.분만의 진통이 시작되면 출산까지 평균 13시간 정도 걸린다. 의사는 이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