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아직 불명이나, 인플루엔자나 수두 바이러스 외에 아스피린 등이 한 인자로서 관여할
가능성
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인류 최초로 동력 비행기를 발명한 미국의 항공계 개척자 형은 윌버 라이트(Wilbur Wright ; 1867~1912), 동생은 오빌 라이트 (Orville Wright ; 1871~1948)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에서 자전거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있을 경우 터치스크린으로 매뉴얼을 선택해 화면으로 보여주면 된다.이 정도의 발전
가능성
이 있다면 지금 터치스크린의 인기가 거품만은 아닐 것이다.터치스크린이란?일반 모니터 화면에 덧붙여진 터치 패널(touch pannel)을 말한다. 터치 패널은 유리판과 필름막이 겹쳐진 형태다. 패널에는 약한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여기에 전기로 쓰고 자기로 읽거나 반대로 자기로 쓰고 전기로 읽는 식의 다양한
가능성
을 시험해볼 수 있다.그러나 문제는 지금까지 절대영도(-273℃)에 가까운 극저온에서만 다강체가 발견됐다는 점. 연구단은 원자의 결합 모양을 바꿔 이 문제를 풀고 있다. 테르븀망간산화물(TbMnO3)에 레이저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맡은 문화기술대학원 구본철 교수는 “아직 대중에게는 낯설지만 디지털퍼포먼스의
가능성
을 여는 단계이므로 새로운 시도로 봐달라”고 주문했다.●● 카포전? 포카전이 있다!매년 가을이면 KAIST와 포스텍 학생들 사이에 ‘Science War’가 벌어진다. 한국 이공계 대학의 쌍두마차인 두 대학이 ... ...
살맛 나는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불만을 표출한다. 특히 코끼리나 침팬지 같은 고등동물일수록 정형행동을 보일
가능성
이 높다. 따라서 동물을 사육하고 관리할 때 이들의 불만을 이해하고 해결해주는 노력이 꼭 필요하다.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행동풍부화를 들 수 있다. 행동풍부화는 동물의 불만을 해소하고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정원을 1000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정부로부터 받는 예산도 2배로 끌어올릴 각오인데,
가능성
이 있고 성과가 좋은 곳에 집중 투자해야 세계 최고의 대학이 나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새로운 시도를 할 때마다 “Is it good for KAIST?”라고 묻는다는 서 총장은 ‘KAIST가 잘 되면 대한민국이 잘 된다’는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여기상태의 분포가 볼쯔만분포가 되지는 않으므로 특정 준위 사이에서 음성온도가 될
가능성
이 있으며 기체레이저의 대부분은 이것을 이용하고 있다 기체가 화학반응에 관여 할 때 등온(等溫) · 등압(等壓) 아래서 반응기체 및 생성기체의 부 피 사이에 간단한 정수비(整數比)가 성립한다는 법칙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속도가 조절된다. 미토콘드리아의 신비한 대사속도 조절 메커니즘은 공학적으로 활용할
가능성
이 높다. 대표적인 예가 연료전지다. 미토콘드리아 모방한 생체 연료전지생체 에너지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는 일종의 생체 전지로 응용될 수 있다. 연료전지와 에너지 생성과정도 비슷하고,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설비를 지원하는 까닭은 2012년 우리나라가 온실가스 의무감축대상국으로 지정될
가능성
이 높은 상황에서 안정적인 청정에너지 시장을 구축하기 위해서다.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어느 지역에나 설치할 수 있고 유지비용도 거의 들지 않는데다 이산화탄소 감축효과도 큰 편이다. 한 가구가 3kW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위한 진화의 산물결론적으로 어떤 사람이 귀신을 봤다는 ‘공포 실화’는 뇌의 장난일
가능성
이 높다. 그러나 귀신 착시가 그저 그릇된 오류인 것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귀신 얼굴을 보는 것은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 상대의 얼굴을 재빨리 인식하기 위한 진화의 부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