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져라~! 행복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읽어 보세요. 두 경우 중 어느 때 더 재미있게 읽었나요?심리
학자
들이 실제로 수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 본 결과, 똑같은 만화라도 막대기를 이로 물고 봤을 때 재미있다는 대답이 더 많았다고 해요. 입술에 닿지 않게 이로 물면 얼굴이 웃는 모양이 되기 때문이에요.우리 뇌는 웃는 얼굴이 ... ...
현지취재_진화론이 살아 숨 쉬는 다윈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상태에서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 다윈센터이기 때문이다. 영국이 자랑하는 과
학자
다윈의 이름을 내건 다윈센터에서 그의 진화론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규명이 아무리 중요하다 해도 우주의 신비는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천문
학자
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20세기 초 허블이 발견한 은하의 생성과 진화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과 달리 은하 생성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파장인 근적외선으로 관측할 수 있다.근적외선은 2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시사했다. 수년 간 냉동고에 처박혀 있던 시료를 잊지 않고 다시 조사한 몇몇 과
학자
들의 시도가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도 있는 연구결과로 이어지고 있다.놀라운 사실은 미미바이러스.유전자를 다른 생명체의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박테리아보다는 진핵생물과 더 가깝다는 점이다.이런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마징가 제트’를 보느라 텔레비전에서 눈을 뗄 줄 모르던 소년이었다.그는 “과
학자
가 되기로 마음먹은 뒤 항상 내가 세계 최고가 된 것처럼 생각하고 과학의 세계에 깊이 빠져들었다”고 회상했다.최영주 교수는 일생을 전부 바치고도 아깝지 않을,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을 무언가를 찾아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글호로 해양 현상을 연구하는 일을 NASA에 제안했다. 혹시 좋은 연구 아이디어가 있는 과
학자
는 우리에게 알려 달라. 공동연구를 할 수도 있다.특히 젊은 친구들이 지구온난화나 기후변화 같은 최근의 환경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4. 비글호에 한 명만 태울 수 있다면 누구를 택하겠는가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앨버타대의 공룡
학자
들을 주축으로 하고 매년 해외의 유명한 고생물
학자
들과 지질
학자
들을 팀에 합류시켰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는 한국이 주관하는 최초의 국제공룡탐사이며 고비사막의 공룡탐사 역사 중 가장 국적이 다채로운 공룡탐사대라는 의미가 크다.2006년부터 5년에 걸쳐 계획돼 있는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진을 넣은 명함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건넸다. 다윈의 이런 명함용 사진은 성스러운 과
학자
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김창배 교수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동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200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인간의 정체성, 즉 인간과 우주의 관계를 정립하는 작업이다. GMT를 이용해 우리나라 천문
학자
가 우주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고 인류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날이 멀지 않았다. 우리나라가 인류에 가장 가치 있는 공헌을 할 멋진 날이 말이다.김호일 연구원은 연세대 대학원에서 식변광성 ‘알골’과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