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문화 속에 깃든 수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 놀라운 능력은 우리를 인간으로 존재하게 하는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신경과
학자
인 저자는 나와 타인을 연결하는 능력의 비밀이 바로‘거울뉴런’이라는 신경세포에 있다고 말한다. 인간을 사회적인 존재로 만드는 ‘비밀’이 책 속에 펼쳐진다.하늘은 왜 푸를까?괴츠 횝페 지음 | ... ...
게임이론을 알면 진화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
학자
최석정의 저서 ‘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인간의 혼을 담는 그릇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초라해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19세기 말 철
학자
니체는 ‘몸을 경멸하는 자들에게’라는 글에서 인간에 대한 연구를 인간 내부에서 찾는 현대과학을 예언한 바 있다. “혼은 몸을 일컫는 또 다른 낱말일 뿐이다. 네 사고와 감정의 배후에는, 아는가, ... ...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토머스 페이책(Thomas P. Peschak)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활동하는 해양생물
학자
이자 사진작가이다.10년 넘게 아프리카 해양과 사막을 찍고 연구해왔다. 올해의 BBC-셸 야생 사진가 상, 피지 사진 상 등을 수상했다.이번이 과학동아에 3번째 싣는 기사다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바이러스에 감염돼 거의 멸종할 뻔한 적이 있는데 이 때 면역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생물
학자
들은 침팬지의 유전자를 연구하면 에이즈 치료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사람과 유인원의 진화를 연구하면 이렇게 오늘날의 사람에게도 도움이 된답니다. 인류의 가장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이런 만남의 자리가 상설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라며 “SF작가와 과
학자
가 만나 상상력의 날개를 펼치는 자리가 앞으로도 계속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이번 워크숍에 참여한 작가들은 SF 중·단편을 한 편씩 지어 10월쯤 작품집을 단행본으로 묶어낼 예정이다. 올 가을 한국 ... ...
[핫이슈] 뛰는 사이코패스 위에 나는 프로파일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미국중앙정보국(CIA)의 전신인 전략사무국이 정신병리
학자
인 월터 랑어 박사에게 의뢰한 내용의 핵심은 독일이 전쟁에 졌을 때 나타날 그의 행동이었다. 랑어 박사는 유명 서적 ‘히틀러의 정신분석’의 저자다. 그의 분석 결과는 “히틀러는 자살할 것이다”였다 ... ...
실종 아동을 둘러싼 진한 모성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말한다. 스트레스에 대한 일종의 정신적 방어메커니즘으로 이해하면 쉽다. 정신분석
학자
로서 프로이트와 함께 아동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을 8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극복해야 할 심리사회적 위기와 발달 과업을 제시했다.예를 들어 영아기 때는 ‘신뢰감 대 ... ...
기세 오른 한국 수학, 국제수
학자
대회 유치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2002년 이전에도 꾸준히 늘어 왔지만 이처럼 높은 성장을 기록한 적은 없었다.“중국 수
학자
들 사이에선 ICM을 치르고 나서 연구비가 10배는 늘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이 대회의 힘을 보여준 좋은 사례죠.”토종 실력 내세우고 일부 행사 북한서 개최 추진브라질이라는 강적을 만났지만 박 ... ...
오염 토양 살리는 ‘사회 속 과
학자
’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관리 실태를 조사하는 작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과 함께 미국, 독일 등에 있는
학자
들이 의기투합했다. “사회와 호흡하는 공학도로 계속 살아갈 생각입니다. 저와 함께 뜻을 나눌 후배 연구자들이 많았으면 좋겠어요.”“이제까지의 공학교육은 학생의 기술 역량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해 왔죠.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