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한국정보올림피아드를 주관하는 한국정보과학회 엄영익 회장(성균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으로부터 바뀌는 한국정보올림피아드와 관련된 주요 내용을 들어봤습니다. 2018년 초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지역예선을 치르면서 문제에 오류가 발생해 많은 참가자들이 혼란을 겪었습니다. 대회를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이건 놀랍고도 멋진 결과다”라고 말하기도 했죠. 채킨 쿄수는 이 연구를 미국 코넬대학교의 수학교수인 로버트 코넬리, 프랭크 스틸링거와 함께 정리해서 저명한 학술지인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논문이 발표된 뒤 채킨은 M사로부터 56kg에 달하는 초코볼을 한 아름 선물 받았다고 하네요. ...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중요한 문제까지 찾아낸 사람이 있습니다. 2013년 랜스 포트노우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자신의 책 ‘골든 티켓’에서 찰리와 초콜릿 공장에 빗대어 P대 NP 문제를 설명했습니다. P대 NP 문제는 무엇이고, 소설의 줄거리는 어떻길래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걸까요? 웡카는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태아는 언제부터 사람으로 볼 수 있을까요?”대학에서 발달생물학을 가르치고 있다고 하면 으레 받는 질문입니다. 낙태 허용과 같이 공방이 ...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이지요. 끝내지 못했기 때문에 반복해서 생각난다는 게 그의 주장입니다.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은 껌을 씹는 걸 추천합니다. 음악을 듣고 기억하는 뇌의 부위는 청각뿐 아니라 말하기를 담당하는 곳과도 연관돼 있기 때문에 껌을 씹으면 귀벌레 현상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지요. 지금 이 순간 ...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장비가 구비돼 있어 이들 분야를 융합해 연구하는 데 특히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 교수가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과정, AP(대 학과정선이수) 과정, 창의연구(R&E) 프로그램 등 학생들의 역량 향상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는 다른 과학고와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자체가 대입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더 의미 있는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대학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기도 하지만 그 답을 찾으러 가는 곳이기도 하다. 열심히 학교 공부를 하면서도 자신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여지를 준다는 점은,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 ...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함께 각 생물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익히는 귀한 시간이기 때문이지요. 대원들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 배윤혁 연구원, 정다미 연구원 등 실제로 현장에서 연구하고 있는 생태학자들을 만나 각 생물의 모습이나 행동에 대한 설명을 듣고 개별 탐사를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 순간을 우연히 발견할 확률은 1억분의 1에 불과하다”고 말했어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알렉스 필리펜코 교수도 “부소의 발견은 우주의 복권에 당첨된 것과 같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아마추어 과학자와 전문 과학자들 사이의 훌륭한 협력 덕분에 가능했다”고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새 구름으로 인정하자는 캠페인을 벌였답니다. 2017년 5월에는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이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찍은 사진 속 GPS 데이터를 이용해 아스페리타스가 만들어지는 조건을 밝혀냈어요. 당시의 적외선 위성 이미지와 일기 예보, 레이저 구름 측정치 등을 분석한 결과, 아스페리타스는 1000~2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