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올해 6월, 대구 지역 수돗물에서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 과불화옥탄산(PFOA) 등 과불화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검출돼 파장이 일었습니다(과학동아 8월호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 참조). 환경부는 즉각 과불화화합물의 오염 원인을 차단했습니다. 이후 해당 하수처리시설에서 과불화화합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 프랑크푸르트는 요한 볼프강 괴테의 집이 있는 곳으로, 조금 위쪽 괴팅겐은 괴팅겐대학교가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괴팅겐대는 카를 가우스, 베른하르트 리만, 다비트 힐베르트 등 독일 최고 수학자들이 거쳐 간 곳이랍니다. 나미비아 빈트후크 나미브 사막 | 나미비아 수도 ... ...
- part 5. 수학 여행 체험 활동지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기대되죠? 사실 여러분도 100개 도시 정도는 쉽게 경로를 만들 수 있어요.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연구팀이 도시를 찍기만 하면 누구나 동선을 짤 수 있는 ‘콩코드(Concorde)’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인터넷에 공개했거든요. ‘Concorde TSP’라는 이름의 앱도 누구나 쓸 수 있어요. 우리 크루는 이번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하지만 지금까지의 의료수학 연구가 단순히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렀다면, 수리연과 충남대학교병원의 공동 연구는 환자를 진료하고 치료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한 걸음 더 나아 가고 있다. 또 지문 연구처럼 의학 분야에서 풀리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을 줄 ... ...
- Intro. 조선시대 최석정의 마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학사 속 인물과 사건에 관한 이야기를 수다로 풀어보는 본격 수학사 토크쇼 ‘수학사저널 그날’! 오늘은 ‘최석정의 마방진’을 주제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최근 최석정의 마방진을 연구해 새로운 결과를 낸 김종락 교수님과 한상근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박수로 맞아주세요! Intro. 조 ... ...
- part 1. 오일러 앞선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여러분 혹시 ‘마방진’을 알고 계신가요? 마방진은 우리가 즐겨 푸는 스도쿠와 비슷합니다. 가로세로 n칸씩 총 n²칸으로 이뤄진 표에 1부터 n²까지의 자연수를 배열하는 숫자 퍼즐이죠. 단, 배열했을 때 각 행과 열 그리고 대각선에 적힌 수의 ‘합’이 모두 같아야 합니다. 저라면 수의 배열을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만나서 반갑습니다. 한상근입니다. 라틴방진이 왜 ‘라틴’방진인지 아시나요? 오일러가 아라비아 숫자 대신 라틴어를 써서 라틴방진을 연구했기 때문이에요. 2006년에 최석정이 오일러보다 먼저 라틴방진을 연구했다는 게 알려졌는데, 좀 더 일찍 알았으면 세계 사람들이 ‘최석정 방진’이라고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손놀림도 고수의 비결 중 하나입니다. 최근 영국의 케임브리지대학교와 핀란드의 알토대학교 연구팀이 16만 8000명을 대상으로 키보드 누르는 방법을 분석한 결과 속도가 빠른 사람들 대부분이 ‘롤오버’ 기법을 사용했다고 해요. 롤오버 기법은 여러 키를 연속해서 누를 때 이전에 눌렀던 키를 떼기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온몸을 흔들며 춤을 추고 있는 사람은 다름 아닌 대학생들이었습니다. 이날 대학교 축제에서 찍힌 영상은 여기저기로 퍼져나갔고, 아모르파티는 ‘한 번도 안 들어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들은 사람은 없는 노래’로 유명해집니다. 이후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서 흥을 돋우기 위한 단골 음악으로 ... ...
-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 난 비무장지대 ‘DMZ’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이야. 최근,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고 있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들었어. 그럼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과 백두산호랑이가 만날 수도 있대. 통일을 위해 과학자들도 준비 중이라던데…. 진짜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