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벡터r에서 벡터v로 네 손가락을 거머쥘 때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다. 지면에
그림
을 그릴 경우 지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이다.회전하는 물체는 회전 중심에 대해 각운동량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물체가 운동을 하기 때문에 가지는 각운동량을 ‘궤도 각운동량’이라고 한다. 따라서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나온 이전의 결과와 정확히 일치했다. 이후 다른 문제들이 차근차근 풀려나갔다(
그림
1).행렬역학은 탁월하고 엄밀한 이론이었지만, 실제 문제를 풀기에는 매우 불편했다. 조화진동자 문제가 풀렸고, 아주 힘들게 수소원자 문제가 풀린 정도였다. 행렬역학은 물리량을 행렬로 나타낸 뒤에, 이 행렬을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호킹 교수는 끝으로 김 대통령에게 “케임브리지를 꼭 다시 방문해 달라”며 저서인 ‘
그림
으로 본 시간의 역사’를 한권 선물했다고 한다.프로메테우스의 운명처럼이어진 우주론 강연에서 호킹 교수는 자신의 삶을 프로메테우스의 운명에 비유했다. “인간들을 위해 신에게서 불을 훔친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두관계를 직선으로 그어 기울기를 구할 수 있는데,이것이 바로 허블상수다.허블상수는
그림
을 보면 알 수 있듯 관측값에서 조금만 차이가 발생해도 크기가 변한다.허블상수는 바로 빅뱅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인 우주의 나이를 계산하는 근거가 된다.따라서 허블상수가 정확하지 않으면 계산된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정상파의 파장은 반파장의 정수배가 된다.그리고 반파장의 정수배는 현의 길이가 된다(
그림
1). 파장이 현의 길이의 2배가 될 때의 진동수를 현의 기본진동수라고 한다. 그 외의 진동수는 기본진동수의 정수배가 되는데 이들을 배음이라고 부른다. 배음들의 진동수는 기본진동수보다 크므로 높은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심하게 굴절돼 지표면에 도달한다. 지표면에 도달한 달의 위와 아래 빛을 연장해보면
그림
처럼 원래의 달보다 상하로는 작아져 보이게 된다. 반면에 달의 좌우에서 나란히 들어온 빛은 같은 정도만큼 굴절을 일으키므로 달의 좌우 크기는 변화가 거의 없다. 그리고 달이 하늘 높이 떠오를수록 ... ...
보름달 숨은
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한가위에는 휘영청 밝은 보름달을 바라보는 일만으로도 마음이 넉넉해진다.하지만 이번 한가위에는 보름달에서 계수나무 아래 방아찧는 토끼를 직접 확인해보자.옛날 사람들은 하늘에 모래알처럼 뿌려진 별들을 바라보면서 하늘을 도화지 삼아 자신들과 친숙한 대상을 그렸다. 현재 우리에게 잘 ... ...
신비로운 무늬 연출하는 선의 조화 무아레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나타난다.무아레 무늬를 이용하면 동양상을 만들어볼 수 있다.2쌍의 날개가 그려진 새
그림
위에 흑백의 줄무늬판을 한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어떤 모습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자.줄무늬판이 이동하면서 캐릭터는 손을 위아래로 흔든다.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까.이것은 평행선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약을 찧고 있는 흰 토끼가 등장한다. '광한옥토도' 라는 민화 속에도 옥 토끼가 등장하고,
그림
위쪽에는 '광한전'이라 쓰여 있는데 항아선녀가 사는 곳으로 달 속에 있는 궁전을 뜻한다.달 속의 등장인물이 하나 더 늘었다.“태평성대의 요 임금 때 재앙이 닥쳤다. 하늘에 해가 갑자기 열개나 나타나 ... ...
1. 달러덩어리 가속기 왜 필요했나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도서관에서 논문을 뒤적이다가 우연히 독일어로 쓰여진 위데로에의 논문에 실려있는
그림
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위데로에의 선형가속기를 사용해 높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길게 설치해야 하는데, 연구실 안에 설치하기에는 너무 길었다. 좀더 소형으로 만들 궁리 끝에 긴 직선을 나선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