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향연’으로 유명한 아수르바니팔왕과 왕비가 나무 그늘 아래에서 향연을 베푸는
그림
으로도 알 수 있다.디디오르가 기록한 공중정원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인공정원은 한변이 거의 1백20m의 사각형으로 마치 극장과 같이 계단으로 한단씩 올라가게 설계됐다. 테라스 또는 플랫폼에 재배되는 모든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세로축으로 잡고 별들의 분포를 나타내면 재미있는 결과를 얻게 된다(
그림
). 이런
그림
을 ‘HR’도 라고 부르는데 처음 만든 덴마크의 헤르츠스프룽과 미국의 러셀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다. 가장 많은 별들의 위치들은 왼쪽 위(밝고 고온, 청색)에서 오른쪽 아래(어둡고 저온, 적색)로 뻗은 띠 ... ...
서태지 헤어스타일에 프랙탈이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의 모양에서도 프랙탈 패턴은 아름다운 자태를 뽐낸다.서태지 앨범의 표지에 그려진
그림
은 ‘만델브로트 집합’이라고 불리는 도형이다.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되는 도형이지만, 가장자리의 소용돌이치는 무늬는 세부적으로 들어갈수록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서 같은 구조를 반복하고 있다. 흑인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동쪽으로 연해주에 이르는 암각화 분포권에 속하고, 한국 암각화에서 나타나는
그림
이 시베리아나 몽골 그리고 알타이산맥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는 것과 공통점이 있음을 보여준다.현재 우리나라의 암각화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다. 이미 울주의 천전리 암각화와 반구대 암각화가 발견된지 30년이 ... ...
우주속 숨은
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우주를 탐사할때 만나는 많은 천체나 지형도 마찬가지다.자 이제 우주 속이 숨은
그림
을 찾아 떠나보자.1978년 충북 대청댐 수몰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돌판을 최근 분석한 결과 놀랍게도 돌판위에 새겨진 점들이 북쪽하늘의 별자리임이 밝혀졌다. 물론 북두칠성도 확인됐다. 고대인들도 쉽게 ... ...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코에서 일어나는 일과 비슷했으므로 사람들은 이런 장치를 ‘전자코’라고 부르게 됐다(
그림
1).이번에 개발된 전자코의 장점은 냄새에 대한 반응을 색의 변화로 나타내기 때문에 결과를 이해하기가 매우 쉽다는 점이다. 시각의 도움을 빌어서 냄새 정보를 해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것으로 해석했다.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은 광전효과를 훌륭하게 설명했다(
그림
1). 그러나 빛의 파동성을 보장하는 회절과 간섭 때문에 광양자 이론이 빛의 본성에 대한 물리학자들의 생각을 한번에 바꾸지는 못했다.파동-입자 이중성이 심각한 문제가 된 것은 X선 실험이었다. 1895년에 발견된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인쇄제품으로 바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잉크와 인쇄의 개념이 종이에 인쇄되는 문자나
그림
에서 전자적인 디스플레이까지로 폭넓어진 현대사회.특수잉크는 단지 화학적인 성분을 지닌 액체잉크적 개념을 넘어 전자잉크로 변모하고 있다.정보사회가 발달할수록 더 다양하고 특수한 잉크를 ... ...
CD는 가고 DVD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화면은 영화에 따라 24-32 프레임(장면)까지 다양한 초당 프레임수를 갖고 있다. 정지된
그림
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영화가 상영되는 것이기 때문에 프레임수가 많아질수록 움직임이 자연스러워 화질의 해상도는 높아진다. 당연히 장면수가 적어지면 화질의 해상도가 떨어진다. 고화질의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태권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돌려차기를 예로 들어보자(
그림
1). 가라테나 소림권을 비롯한 대부분의 무술에서 차기 동작은 스탠스를 넓게, 즉 지지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발 자체의 회전력을 이용한다. 하지만 태권도의 돌려차기는 스탠스를 어깨 넓이 정도로 벌려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