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게임을 좋아하는 젊은이들이 화려하고 정밀한 영상에서 실제처럼 생생한 음향 효과
쪽
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도 이런 추세를 따른다. 이에 휴먼컴퓨팅연구실은 중고등학생들이 즐겨 쓰는 이어폰에 주목했다.이어폰은 내가 원하는 소리를 간편하게 이동하면서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생겨서 가로로 수평을 이루는 융선이 많고, 어느 한
쪽
에서 출발한 융선이 원래 시작된
쪽
으로 돌아오지 않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궁상문의 패턴을 갖고 있는 사람은 약 2.2%로 소수에 불과하다.와상문(whorl)은 소용돌이 모양을 하고 있고, 보통 소용돌이 주변에 두 개의 삼각주를 갖는다. ... ...
큐브 맞추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호 당첨자 명단은 과학동아 182
쪽
에 있습니다. 지난달 정답과 자세한 해설은 ‘도전! 1% 클래스’(www.dongaScience.com/ds)의 ‘지식퍼즐’ 코너에서 볼 수 있다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구 근처로 끌고 올 수만 있다면, 태양계 중력에 변화가 생겨 지구를 태양에서 먼
쪽
으로 조금씩 밀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기술이 성공을 거두려면 지름이 약 100㎞인 소행성을 적어도 6000년 에 한 번씩 지구에 접근시켜야 한다.이것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한데다 자칫 잘못하면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 반대일 때 야광운에 변화가 생긴다는 점이다. 한
쪽
반구의 온도에 변화가 생기면 반대
쪽
반구에 떠 있는 야광운도 바뀐다는 것. 러셀 박사는 “구름이 계절에 따라 계속 변하면서 날씨를 만들듯이 대기 중간층에 떠 있는 야광운도 계절에 따라 변한다”며 “일반 구름의 변화와 야광운의 변화는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뒤집어쓰고, 두 개일 때는 다른 하나를 대문처럼 사용했다. 이동할 때는 껍데기를 다리 안
쪽
에 끼우고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미끄러지듯 달렸다. 껍데기를 들고 한번에 20m 이상 헤엄치기도 했다.핀 박사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문어에게 고도의 지능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인류 일부가 북
쪽
으로 이동해 동아시아로 온 것도 맞을 것”이라며 “한국인은 남
쪽
과 북
쪽
에서 온 인류가 합쳐진 민족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컨소시엄은 이런 가능성에 답하기 위해 2차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중앙아시아와 태평양 섬나라도 포함한다. 2차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동
쪽
에서 뜬 달은 서
쪽
으로 자리를 옮겼고 북반구의 겨울철 별자리 오리온자리도 남
쪽
하늘에 변함없이 떠있었다. 달 위치와 별자리를 보니 방향은 대강 맞는 것 같았다.조난의 끝에 만난 친절한 원주민들예정대로면 한국에서 탐사 여행에 참가하는 선발대가 오는 날이다. 며칠간 연락이 두절된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달아난다. 4. 코사노스트라의 음모“아이 참, 선생님 그
쪽
이 아니라니까요. 이
쪽
으로 오세요.” 창고에 들어선 허풍과 도형은 기다리고 있던 네로 울프를 만나 사건의 자초지종을 듣는다.“경찰이 당혹스러워할 칼잡이 잭 사건을 모방한 것으로 보아 범인은 경찰이 사건을 빨리 해결하기위해 작은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빛이 나가는 방향을 제어하는 독특한 방법을 써서 입체감을 느끼게 했다. 왼
쪽
과 오른
쪽
눈에 비치는 빛을 제어해서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이다.좌우로 기울이면 서로 다른 두 개의 그림이 보이는 렌티큘러 방식의 책받침이나 딱지처럼 별도로 안경을 쓸 필요가 없다. 눈이 2개인 덕분에 3D W1은 다양한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