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윤주 한성과학고 입학홍보부장 - “성패보다 성장 꿈꿔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구성했다. 각 항목에 대해 교사는 최우수부터 평가 유보까지 총 6개 중 하나로 답한 뒤, 이에 관한 내용을 서술해야 한다.이 부장은 “성적이 우수하다고 해서 꼭 과학고에 잘 적응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교사들의 객관적이고 솔직한 평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기소개서나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재미있는 생각이 들 때마다 글이나 그림으로 기록해 뒀다. 영재학교에 입학한 뒤에는 노트에 적어 뒀던 아이디어에서 착안해 실제로 연구를 했다. 초등학교 때 적었던 ‘분필을 떨어트리면 어느 지점이 부러질까’라는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실제로 실험했다. 김 씨는 분필 낙하 기계를 제작하고 ... ...
- [과학뉴스] 그리기만 해도 빛이? 연필로 그리는 배터리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흐르는 회로를 그릴 수 있는 펜이지요. 그다음 아연 잉크로 음극을, 연필로 양극을 칠한 뒤, 아연 잉크와 연필 위에 전해질 잉크를 바르면 1.2V 전압의 배터리가 완성돼요. 이렇게 그린 배터리에 전도성 펜으로 다시 회로를 그리고 중간에 LED를 끼우면 불이 들어온답니다. 연구진이 만든 배터리는 ... ...
- [현장 취재] 로봇과 친해지는 특별한 경험! 연극 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반겼답니다. “바이러스의 공격에서 에디를 구해 주세요.”다이애나가 이야기를 마친 뒤 다음 방으로 무대를 옮기자, 축구공 크기의 털북숭이 로봇 5대가 등장했어요. 이 연극의 또 다른 주인공, ‘에디’였답니다. 에디는 천장에 달린 CCTV로 어린이들이 쓴 헬멧의 색을 인식해서 관객을 구분할 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특수 플라스틱 필름을 재료로 선택했어요. 그리고 이 필름을 직육면체 기둥으로 만든 뒤, 70cm가 되도록 이어붙였어요. 이후 종이접기하듯 접어서 두께 4cm로 만들었지요. 그럼 평소에는 드론이 가뿐하게 날아다니다가, 필요할 때만 로봇 팔을 길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지요. 또다른 비밀은 ... ...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있을 거야~! 호킹 박사의 마지막 질문 : 지구는 영원할까?“저는 앞으로 지구가 1000년 뒤에 멸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기후 변화. 핵무기 개발, 인공지능의 진화, 자원 고갈 등의 이유로 앞으로 지구는 엄청난 재앙을 맞이할 거예요. 이런 재앙에 맞설 방법은 딱 하나 ... ...
- 제한시간 안에 막힌 방에서 탈출하라! 수학자 저택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마지막으로 수학자의 방을 돌아보았다. 창문 높이의 문에서 뛰어내려 계속 달렸다. 등 뒤로 철문이 닫히는 소리가 났다. 자욱한 안개 사이로 저택이 희미해졌다. 아마 수학자 저택은 안개 속에서 또 다음 손님이 오길 기다릴 것이다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들어 4-퀸즈 퍼즐은 그림❸과 같은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판을 좌우 또는 위아래로 뒤집었을 때 겹치는 모양을 한 가지로 치면 총 2가지 방법이 있지요. 이렇게 모든 방법을 찾을 때는 하나를 찾은 뒤, 대칭을 이용해 또 다른 방법을 찾아내는 게 요령입니다. 가우스도 관심 가진 8-퀸즈 퍼즐8 ... ...
- [과학뉴스] 헤딩슛, 평형감각 망가뜨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우선 연구팀은 선수들의 귀 뒤쪽에 전기전정자극(GVS)을 유발하는 장치를 부착한 뒤 눈을 감고 걷게 했다. 전기전정자극은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과 뇌를 연결하는 신경을 자극하는 것으로, 자극을 받은 피험자는 실제로 움직이지 않아도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또한 연구팀은 ...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수출국에서 결혼비행을 마친 뒤 컨테이너를 타고 옮겨올 가능성부터 군체를 형성한 뒤 이동할 가능성까지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 조사에 임하고 있다.7월 중순인 현재까지는 내륙의 다른 지역에서 남미붉은독개미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신속하고 정밀한 내륙 분포조사가 이뤄져야 적절한 대책을 ... ...
이전3183193203213223233243253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