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Ⅱ) 수용액에 금속 마그네슘(Mg)판을 담그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마그네슘(Mg) 판을 담근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수용액의 푸른색은 점점 옅어지며, 마그네슘(Mg) 판에 결정이 생긴다. 구리(Cu)와 질산은(AgNO3) 수용액의 반응과 반대로 수용액 속에 있던 구리이온(Cu2+)이 마그네슘(Mg) 판에서 나온 전자를 ...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계획이었다. 구조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7월 8일이다. 실종자들을 발견한 뒤 다행히 큰 비가 내리지 않아 동굴 내 수위가 다소 낮아진 때였다. 구조 계획은 구조대와 함께 생존자들이 잠수해서 동굴 밖으로 나온다는 작전이 채택됐다. 하늘이 도운 걸까. 최초로 4명이 동굴에서 구조됐고, ... ...
- [별난이름정리] 다윗의 별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a와 b의 지수가 곧 a와 b를 선택한 횟수지요. 이처럼 어떤 두 수 a, b의 합을 거듭 제곱한 뒤 나열했을 때, 이항 계수를 이용해 a2+2ab+b2처럼 단항식의 합으로 나열한 것을 이항정리라고 합니다. 그리고 문자 앞에 있는 계수가 바로 이항 계수입니다. ❷처럼 이항 계수만 따로 떼어 보면 파스칼의 ... ...
- [과학뉴스] 소행성 2개, 지구 스쳐지나간 뒤에야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 팔로마 천문대는 두 소행성이 지구를 지나간 지 몇 시간 뒤에 이들을 관측하고, 그 결과를 7월 9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이번에 지나간 소행성 ‘2018 NX’와 ‘2018 NW’는 모두 지름이 10여 m인 비교적 작은 소행성이다. 10m 크기의 소행성은 대부분 대기권에서 ...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기억력 등은 어떻게 변하는지 실험한다.하이시스는 2013년 첫 실험을 시작한 뒤 현재까지 다섯 차례 실험을 마쳤다. 2018년 6기 대원 중 한국인인 한석진 미국텍사스대 경제학과 교수가 커맨더(대장)로 참석했다. 한 교수는 고립된 공간에서 대원들 간의 상호 관계가 화성 임무수행 능력에 어떤 영향을 ... ...
- [Culture] 과학으로 분석한 ‘낚시꾼 스윙’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수준이라는 뜻이다. 가속도 역시 약 12만px/s2으로 더프너 선수(약 14만px/s2)에게 크게 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박 선임연구위원은 “규격화된 테니스 코트처럼 현장의 길이에 대한 정확한 지표가 영상에 있다면 실제 속력과 가속도까지 영상으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며 “분석 결과 최 ... ...
- [심장과 생식기 연결하기] 당신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 성분에 인간의 면역시스템이 작동하면서 즉시 거부반응이 일어난다. 또 수십~수백일 뒤에는 온 몸의 혈관이 조금씩 망가지는 혈관성 거부반응 등 다양한 거부반응이 생길 수 있다.과학자들은 돼지의 심장세포에 알파갈이 없도록 돼지의 유전자를 교정하거나,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 유전자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겹친 뒤, 촛불 심지 근처 하단부의 불꽃에 순간적으로 넣었다 뺐다.doi:10.1039/c0cc03799k그 뒤 포일에 생긴 그을음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분석하자 흑연, 풀러렌, 무정형탄소와 함께 크기가 2~5nm 수준인 나노 다이아몬드가 대거 발견됐다. 촛불의 경우 아래쪽은 500도 가량이지만, 바깥쪽은 1400도에 ...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2017년 석탑을 조립하는 과정에도 3D스캐닝을 활용했다. 3D스캐닝은 대상물에 레이저를 쏜 뒤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석탑의 형태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컴퓨터에 기록한다.미륵사지 석탑의 경우 수 십m 원거리에서 실시하는 광대역 스캔과 50cm 내외의 근거리에서 실시하는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