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등에서 시험 중이다.동물을 보호하는 로봇은 아직까지 주로 미국이 개발하고 있지만, 한국도 잠재성이 높다. 이진이 KAIST 기계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은 “고래 보호에는 수중음향기술이, 드론을 이용한 동물 생태 파악에는 영상처리, 드론 제어 기술이 필수”라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코펜하겐에 정착할확률보다 높다. 우리 강산에 피어난 민들레 씨앗이 바람에 날려 한국에 떨어질 확률은 태평양에 떨어질 확률보다 높다. 결과적으로, 가까이에서 사는 이웃들은 개체군 평균보다 유전적으로 더 유사한 개체들끼리 모이게 된다.이처럼 대부분의 개체들이 출생지 근처에 모여 살아서,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술 바람이 불고 있다. 데이터를 움직이는 그림으로 표현하는 ‘가시화기술’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가시화기술개발실은 선두다. 슈퍼컴퓨터의 강력한 계산 능력을 바탕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들어주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위에 소개한 블랙홀 충돌 및 중력파 영상과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나라 연구 성과를 잘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라며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SW 중에 한국에서 개발한 것이 거의 없는데, 이 SW가 널리 사용되는 주인공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 교수와 김 교수는 DNA를 넘어 RNA와 단백질 등을 포함하는 생명 현상의 센트럴 도그마(Central Dogma) 관련 프로그램도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찬사를 보내는 것과 달리, 저자는 어쩌면 탐험은 거창한 게 아닐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한국에 돌아온 뒤엔 구름에 가려진 별자리의 위치를 상상하고 방파제에 쌓인 암석을 그냥 지나치지 못하며 가끔 화성에 있는 탐사로봇에게 ‘수고했다’고 혼잣말을 한다고.탐험에 나설 용기를 얻은 것 같다 ... ...
- Part 1. 세계는 지금 초고속열차 경쟁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프랑스의 ‘테제베(TGV)’가 손꼽혔어요. 2007년 4월에 무려 최고시속 574.8km를 기록했지요. 한국의 고속철도 KTX도 테제베의 기술로 만들었답니다. 테제베의 기록은 아주 오랫동안 깨지지 않았어요.그런데 최근에는 더 빠른 열차들이 속속 개발되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어요. 지난해 4월, 일본의 ...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렇게 빠른 초고속열차들이 개발되고 있다니…, 깜짝 놀랐어. 그런데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겼어. 열차가 달리기 위해선 선로나 튜브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잖아? 그럼 바다는 어떻게 건너지?유럽처럼 나라끼리 육지로 연결되어 있는 곳은 지금도 열차를 타고 쉽게 다른 나라를 여행할 수 있어요.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름에 너구리가 붙은 것처럼, 너구리의 영어 이름에는 라쿤이 붙어 있지요.너구리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쪽에 많이 살아요. 나무 열매부터 작은 동물들까지 다양한 먹이를 먹지요. 손바닥 크기의 물고기를 그 자리에서 8~10마리나 먹을 정도로 많이 먹는답니다. 그래서인지 너구리는 통통해서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구성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요. 미국인이 영어를 쓰고, 우리나라 사람이 한국어를 쓰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들도 각자 자기에게 편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컴퓨터에게 말을 거는 거지요. 시키고 싶은 일이나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서도 코드의 종류가 달라지고요.가장 많이 쓰는 코드는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