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무선인터넷만 연결돼 있으면 작동한다. 지구 반대편에 있는 미국에서도 인터넷으로 한국에 있는 파이보를 움직일 수 있다!서큘러스의 최종 목표는 1인 1컴퓨터, 1인 1스마트폰 시대와 같은 1인 1로봇의 시대를 만드는 것이다. 박 대표가 어렸을 때 컴퓨터는 굉장히 비쌌고, 일부 기능만 이용할 수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근대문화골목을 디자인하기 시작했습니다. 새롭게 단장한 대구의 골목길은 2012년에 ‘한국 관광을 빛낸 10개의 별’ 가운데 하나로 뽑히기도 했습니다.대구 골목길은 총 다섯 가지 코스로 나뉩니다. 각 코스마다 대구의 역사와 문화를 속속들이 알 수 있는 볼거리가 있습니다. 첫 번째 코스인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등 선진국들은 생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하지만 한국은 대양탐사요건(2만7780km 또는 40일 연속운항)을 만족하는 해양과학조사선이 없어 어려움이 많았다. 2014년 인도양 공해상의 중앙해령지역에서 1만km2 규모의 해저 열수광상 광구를 단독으로 탐사할 수 있는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적이 있었는데 보존 상태가 아주 좋은 뼈에서도 DNA를 확인할 수 없었다. 알고 보니 한국 전쟁 직후 이들 유해를 송환 받아 감식하는 과정에서 유해 대부분을 포름알데히드에 사흘간 담가놓았고, 포름알데히드가 DNA를 완전히 파괴해 버린 것이다(이전 화에서 얘기한 것처럼, 이 일은 DPAA에서 흉부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암반들을 굴착하지 않고 기둥 모양으로 깎아서 지하공간을 지탱하는 구조물로 활용했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는 지난 수 년 동안 지하 공간을 만드는 주요 기술을 기존보다 향상된 형태로 개발해 왔다. 암석을 깎아내는 기술의 경우, 쉴드 TBM을 이용하면 깎아낸 단면의 형태가 넓은 평면일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조언을 받을 수 있다는 유혹이 머리 속에서 끈덕지게 사라지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나도 한국 정치가 신물이 나도록 지긋지긋했고, 국민 뜻을 파악해서 실천하는 지도자의 등장을 간절히 바라기도 했다. 중우정치면 어떤가, 최소한 국민들이 스트레스는 덜 받을 거 아니냐는 마음이 일기도 했다.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음속은 시속 1224km다. 인터뷰 초고속열차, 10년 이내에 만날 수 있어요!_이관섭(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철도연구팀장) 하이퍼루프나 아음속 캡슐 트레인은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어요. 아마 10년 이내에 튜브 속을 초고속으로 달리는 열차를 탈 수 있을 거예요.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꾸는 주요 요소인 연구비(양분)와 공동연구관계(네트워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 과학 생태계의 현 주소를 되짚어 보고, 대안을 모색해 봤다. 과연 우리는, 노벨상을 기대할 만큼 건강한 연구 생태계를 만들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PART 1. 연구비보다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주제와 목표, 방법 등을 기획한 뒤 이를 수행할 연구자들을 모집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국에서는 이와 취재팀의 논문 분석 결과 흥미로웠던 사례는 외부 연구비 없이 연구한 경우다.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개발한 공로로 201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에릭 베치그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