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각종 자원의 보물창고로 주목받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주인 없는 남극 자원개발에
참여
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기지를 세우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8년부터 남극에 세종기지를 세워 운영해오고 있다. 우주도 마찬가지다. 미국이 단순히 인류 과학의 발전과 과학적 호기심의 충족을 위해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사실이 한예다. 이 발견에는 미국 노틀담대의 한국인 여성천문학자 이선홍 교수가
참여
했다. 태양은 혼자 떨어져 있는 별이지만, 태양계 주변의 별들 중 절반에서 3분의 2 정도는 둘 이상의 별들이 하나의 항성계를 이룬다. 그러므로 쌍성 주위에서 행성을 찾아낸 것은 행성이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이 ... ...
1. 인간 이해 지름길, 침팬지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참가하지 못한 우리나라는 침팬지 게놈프로젝트에 선두주자로
참여
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한국 과학의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더없이 좋은 기회를 확보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획득한 자주적인 생물 정보 생산능력은 우리나라 생명공학 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다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상록 사업단장은 “연구개발이 곧바로 상업화로 이어지게 하기 위해서 관련 업계의
참여
를 유도하려 한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관련 산업계가 육성되도록 기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이들 사업이 종료되는 10년 후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나노기술에 대해 우위를 차지하기를 기대해 본다 ... ...
우주에서 응원한 붉은악마 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축구의 상징으로 내세운 치우천왕의 모습을 닮은 것 같다. 아니면 붉은악마 응원단에
참여
한 누군가가 얼굴에 하얗게 칠한 채 머리에 뿔을 달고 목에는 붉은 머플러나 스카프를 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또 자세히 보면 목 주변에 감긴 붉은색 머플러에도 치우천왕의 모습이 언뜻 비치는 것도 같다.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대형전광판이 만들어지는 과학적 원리는 무엇일까. 2002 한일월드컵에서 수많은 인파가
참여
한 거리응원에는 단연 대형 전광판이 중심이었다. 붉은 색으로 물든 수십만의 관중들이 광화문, 시청, 여의도 등의 광장에 모여 우리나라 대표팀을 응원하는 모습은 전세계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그 많은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전산학자가 관여한다. 구조생물학 연구의 중심축은 생물학이지만 다른 전공자도 활발히
참여
한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이흥수 박사는“물리학의 시각으로 생명현상을 바라보는 것이 장점이 된다”고 말했다. 생물학 이외의 전공자가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구조생물학 연구에 도움을 줄수 있다는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복사본을 만드는 것이다. 이 생각은 1940년대 원자탄 개발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
하면서 일대 도약의 기회를 맞았다. 동료 과학자인 울람은 컴퓨터를 사용해 기하학적 패턴을 재생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여기서 힌트를 얻은 노이만은 로봇이라는 3차원 세계보다는 추상적인 ... ...
다윈의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가진 헉슬리는 다윈을 대신해‘종의 기원’출간 이후 벌어진 신학자들과의 각종 논쟁에
참여
해서 진화론을 알렸다. 다윈은 종의 기원 이외에도, ‘비글호 항해기’(1839), ‘화산도의 지질 연구’(1845), ‘식물의 교배에 관한 연구’(1876)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하루 속히 정밀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말한다. 금강산댐의 대응댐인 평화의댐 설계에
참여
했던 강원대 토목공학과 최석범 교수는 “사력댐의 경우 댐의 누수는 안전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누수문제에 대한 정확한 현황파악과 함께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지난 5월 14일 평양을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