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종이류 보존과학 전문가뿐 아니라 화학, 생물학 등 광범위한 인접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
하는 대책반을 구성해 보존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질소밀폐처리로 밀랍본의 산화를 막는 응급조치를 먼저 취하게 될 것이다. 질소밀폐처리는 종이류 문화재를 밀폐된 공간에 넣은 뒤 질소를 주입시켜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 있다. 또 A+E → F+G와 같은 반응도 있다고 하자. A라는 물질은 위의 두개의 반응에 모두
참여
하므로 연결된 선이 2인 노드(점)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연결선은 각각 B와 E에 연결돼 있다.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 안의 모든 물질들에 대해 연결 그래프를 그려보면 신진대사 네트워크가 어떻게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교수팀이 CASP에서 높은 성과를 거둔데는 그가 미 코넬대 연구팀에 있을 당시인 제3회부터
참여
한 경험이 도움이 됐다. 그가 몸담았던 코넬대 연구팀의 경우 단백질 구조 연구 역사가 20년이 넘는다. 그러나 그가 고등과학원으로 몸을 옮긴 것은 2000년 10월. 고작 1년 반의 준비기간이 있었을 뿐이었다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설계 변경을 최소화했으며 품질을 향상시켰다.또한 설계 단계부터 제작조립 담당자가
참여
해 명실공히 동시공학적 설계를 수행했다. 실제로 1천여명의 한국항공우주산업(주) 기술진은 35만개의 부품을 서로 나눠 설계한 다음, 마치 퍼즐 맞추기 하듯 컴퓨터 상에서 조립하고 시험도 했다.T-50 개발의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의학과 정의태 교수와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그리고 미주리대 박광욱 박사가
참여
했다.현재는 인간면역 관련 유전자를 돼지세포에 집어넣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렇게 유도된 체세포로 돼지를 복제하면 인간에게 장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돼지의 생산이 가능하다. 그 첫단계로 2002년 10월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태양 극지 탐사의 기본개념은 1970년대 초 유럽에서 제기됐다. 1979년에는 미국이
참여
해 ‘국제 태양 극지 임무’(ISPM) 계획으로 발전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은 각자 탐사선을 개발해 1983년 태양의 북극과 남극을 향해 동시에 발사하기로 했다. 태양 전체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입체적으로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반응에 의해 생활이나 생체 구성성분의 합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이 반응에
참여
하는 효소가 산화환원효소이다살모넬라균속(菌屬)의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의 총칭 장티프스와 비슷한 증세의 패혈증형(敗血症型)과 식중독형인 급성 위장염형으로 크게 나눈다 봄철 북쪽 하늘의 별자리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한국은 1989년 남극조약 당사국이 되면서 남극에 관한 결정권을 가진 나라로 남극 경영에
참여
하고 있다. 남극은 심해저와 달리 인류공동의 유산이 아니므로 남극조약 협의당사국이 남극에 관한 결정을 한다. 반면 남극조약에 가입한 것만으로는 아무런 발언권도 없다.“대륙에 기지를 세우면 다시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으며, 한양대와 숙명여대 겸임교수로서 관련 교육과정 개발에도
참여
하고 있다. 연구소는 이미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솔루션 5가지를 개발해 출시했으며, 이 중 게놈서열 자동 주석시스템은 일본 국립동경농공대에 수출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서울대 생명과학부 생물정보학 ... ...
왜 핵과학자들은 초중량 원소를 만들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따라서 국내에서는 초우라늄 원소 연구가 불가능한 상태다. 현재 필자만이버클리 그룹에
참여
할 예정이며 가장 적합한 핵반응을 찾기 위한 이론적인 계산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필자의 바람은 국내에 중이온 가속기를 보유하게 돼 우리나라의 이름을 주기율표에 채우는 것이다. 실제로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